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도 개혁과 공천 혁신안 등을 두고 난상토론을 벌였다. 당 혁신위원회가 추진 중인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에 대해서는 반론이 적지 않았고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등에 대해서 지도부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문재인 대표는 모두 발언을 통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당력을 모아줄 것을 요청했다. 문 대표는 “지역주의 문제는 수십년 째 진전 없이 재생산되면서 정치발전 가로막고 있다. 해결방안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라며 “여야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통 크게 합의해 내년부터는 영남에서도 호남에서도 서로 경쟁하는 정치를 하도록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새누리당에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의원들 다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나왔다. 조경태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얘기하면서 그 취지와 목적을 지역주의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그건 모순”이라며 “문 대표가 부산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했는데 당 대표부터 (부산 출마로) 모범을 보이고 지역주의 극복하자고 말하는 게 이치에 맞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주장에 대해 지도부가 오락가락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최규성 의원은 “지도부가 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왔다 갔다 하느냐. 오픈프라이머리가 우리 당론이기 때문에 문 대표가 대선 때 공약한 것 아니냐”고 따진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들의 공천을 좌우할 혁신위의 선출직 공직자 평가안을 두고서도 토론이 이어졌다. 평가안은 의원들의 의정 활동과 지역구 활동, 여론조사 등을 10여개의 항목을 혼합해 종합 평가하는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의회 활동, 지역 활동, 여론조사 등을 방법을 제시하고 그것과 관련된 (의원들의) 의견을 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일부 의원들은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의원들의 의정활동을 계량화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결론 없는 새정치연합 의총
입력 2015-08-10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