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의원 “슈퍼 직원은 임과장에게 번개탄 팔지 않았다”

입력 2015-08-10 10:29
사진=정청래 의원 페이스북 이미지 캡처

국가정보원 해킹 현안과 관련해 자살한 국정원 직원 임모 과장이 번개탄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진 가게에선 번개탄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9일 새벽에 경찰이 밝힌 임과정의 행적들을 추적한 결과 경기도 이동면 천리에 위치한 가게에서는 번개탄을 판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청래 의원측은 10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경찰 발표를 근거로 임씨가 번개탄을 구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게를 직접 찾아가 종업원에게 문의해본 결과 이 가게는 번개탄을 취급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정 의원 측은 또 “근처에 가게가 여러 곳이 있었지만 새벽 시간에 운영되는 곳은 한 곳 밖에 없었기 때문에 경찰이 발표한 가게로 추정 된다”고 부연했다.

정 의원 측은 이 같은 의혹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경찰에 임 과장이 사건 당시 구입했던 물품 목록과 영수증 등의 자료를 요구했다. 그러나 2주가 지난 현재까지 자료를 넘겨받지 못했다.

앞서 지난달 20일 용인동부경찰서와 경찰청 등은 임씨가 지난 18일 오전 5시30분쯤 경기 용인 처인구의 한 슈퍼마켓에서 숯 2봉을 현금 2000원에 구입한 사실을 CCTV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잠시 후인 오전 5시48분쯤 임시가 인근의 또 다른 마트에 들러 번개탄 5개를 사고 카드로 3450원을 결제한 기록도 확인했다.

아울러 정 의원 측은 수색 작업을 벌인 소방서 측이 사건 현장에서 무전기가 아닌 전화를 사용한 점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통해 “현장 검증을 위해 죽음의 장소인 임과장의 사건 현장을 찾아가 본 결과 (통신)서비스도 안 되는 지역 이었다”는 내용과 더불어 핸드폰 인증 사진을 올렸다.

정 의원은 또 “이런 지역에선 무전기로 통신해야 하거늘 소방은 왜 반대로 거미줄(무전이 아닌 다른 통신수산)을 치고 핸드폰으로 통화했을까”라고 반문하며 “시시삭각 녹취되는 무전기를 피하려고? 진실을 덮으려고?”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김성회 보좌관도 10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구조작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기록된 무전 내용에는 차량이나 시신이 발견됐다는 내용이 없다”며 “이런 내용은 모두 유선전화나 휴대전화 등으로 이뤄진 것으로 추정 된다”고 말했다. 김 보좌관은 “기록을 남기지 않으려는 의도가 아니냐”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SNS 글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페이스북에 게시된 글은 올라온 지 하루도 채 되지 않아 40여명이 공유했고, 700여명의 네티즌이 ‘좋아요’를 눌렀다. 정 의원이 제기한 의혹들에 대해 네티즌들은 “숨기고 싶은 비밀이 뭔지 궁금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