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서영교 의원이 9일 박근혜 대통령의 여동생인 박근령씨의 군 위안부 사건 망언에 대해 박 대통령의 해명을 촉구했다.
당 전국여성위원회 위원장인 서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8일 새벽 숨을 거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박유년 할머니의 명복을 빌면서 일본정부의 사과를 요구했다.
서 의원은 "올해만 벌써 8분째 세상을 떠났다. 238분 중 47분만이 생존해계시다"며 "무례한 일본, 후안무치한 일본의 진정한 사과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얼마 전 세계 최장수 시위기록으로 기네스북에 올라 매주 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정신대문제 수요시위가 23년간 진행되고 있음에도 정부가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판결이 있었다"며 "그러나 박근혜 정부는 이에 대해 어떤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히려 박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 전 육영재단이사장이 식민사관에 찌들은 망언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들은 물론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존심에 대못을 박았다"며 "이런 망언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은 왜 아무 말도 없느냐. 대통령이 공동책임이 있는 게 아니냐고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유은혜 대변인 또한 이날 오후 국회에서 가진 현안 브리핑에서 "아베정권의 행태 못지 않게 국민을 분노하게 하는 것은 대통령의 친동생이 친일망언을 쏟아내고, 부친의 친일행적을 지우려는 집권여당의 대표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고 있는 현실"이라며 "광복 70주년이 되는 때, 친일청산의 문제가 다시금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 대통령이 침묵만해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앞서 박근령 씨는 지난 4일 일본 동영상 사이트 '니코니코'와의 인터뷰에서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일본의 상징인 일왕이 사과했는데, 총리가 바뀔 때마다 반복해 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그는 "일본이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 근대화나 한센병 퇴치 등에 큰 도움을 줬다"며 "이런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도 해 공분을 일으켰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박근령 망언에 왜 아무 말이 없나?” 서영교, 朴대통령 해명 촉구
입력 2015-08-09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