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9일 '청년후보 1·2·3 공천할당제'를 발표한 것에 대해 청년층을 대변하는 의미있는 혁신안이라 볼 수 없으며 청년층 의회 진출 방안은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9일 구두논평을 통해 "숫자(비율)를 발표하는 것은 전혀 의미가 없다. 의미 있는 혁신안이라 받아들이기 힘들다"면서 "(청년 공천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층을 대변할 수 있는 제도, 투명성, 경선방법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 혁신위는 이날 20대 총선을 앞두고 국회의원 후보 공천에 10%, 광역의원에 20%, 기초의원에 30% 이상을 청년 후보에 할당하는 '123공천할당제'를 제안했고, 만 29세는 20%, 만 35세는 17%, 만 42세는 15%의 가산점을 줘 청년 세대별로 가산점을 차등적용하는 방안을 내놨다. 이는 젊은 일꾼을 과감하게 수혈하는 방법이며, 청년에 해당하는 국회의원 수가 낮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야당 혁신위의 발표는 자칫 정치를 하고자 하는 청년층을 호도할 수 있으며 건강하고 실력있는 (젊은) 정치인 양성보다는 정치꾼을 양성할 수 있다"며 "숫자를 발표하기 전에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깊이있게 논의해주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의 이같은 비판은 당론으로 결정한 국민공천체는 약자에 대한 할당과 같은 배려 보다는 오로지 국민경선을 통해 후보를 공천하자는 것이기 때문에 야당 혁신위안을 평가할 경우엔 국민공천제 취지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 대변인은 또 "혁신위와 야당 지도부 간에 (정치개혁 안을 두고) 엇박자가 많이 나고 있다. (청년 공천 할당에 대한) 야당 내부의 반응도 궁금하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與 “野 혁신위 청년 공천 할당제, 정치꾼 양성”
입력 2015-08-09 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