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조정 데드라인 13일 지키기 물건너갔다

입력 2015-08-08 18:51

여야는 선거구 획정기준 마련 '데드라인'을 엿새 앞둔 8일 획정기준에 대한 실질 협상은 진전시키지 못한 채 권역별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제도 도입을 놓고 날선 공방을 이어갔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국민공천제로 명명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에 거듭 촉구했고, 야당은 권역별비례대표제와 국민공천제를 일괄타결하기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오라고 여당을 압박했다.

특히 야당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선거제도 뿐만아니라 모든 정치제도 개혁방안을 '통 큰 결단'을 통해 테이블에 올려놓고 논의를 시작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여야가 선거제 및 공천제와 관련해 기존 입장만을 고수하며 발등의 불로 떨어진 선거구 획정기준 마련협상에 대해선 아예 손을 놓고 있어 오는 13일 데드라인을 지키는 것이 사실상 물건너갔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선거구획정기준 마련이 늦어질 경우 중앙선관위 산하에 독립기구로 설치된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선거구 획정작업도 선거법에서 규정한 시한인 오는 10월13일(선거 6개월 이전)을 맞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기득권을 내려놓기 위한 정치 개혁의 핵심은 공천 제도의 개혁이고, 그 실행 방안은 국민공천제"라며 새정치연합에 국민공천제 수용을 촉구했다.

신 대변인은 야당이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국민공천제의 '빅딜'에 대해선 "국민공천제는 그 어떤 것과도 흥정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고 일축하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결과적으로 현재 300석인 의석 수만 늘린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역주의 타파'라는 나름의 명분을 바탕으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권고한 데다 야당 대표도 이를 제안한 만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라는 '공론의 장'에서 논의될 필요는 있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국민공천제에 대한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전국 240여개 당협위원회를 통해 국민공천제의 당위성을 알리는 현수막을 거는 등 온·오프라인에서 홍보 활동을 강화했다.



반면 새정치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의 차이점이 뚜렷한데도 일괄타결을 제안한 것은 정치발전을 위한 문 대표의 대승적 결단"이라며 "새누리당은 절벽 같은 태도를 버리고 논의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또 "정치발전에 목말라 있는 국민을 생각해 차제에 선거제도 하나에 그치지 말고 '통 큰 결단'을 통해 모든 정치제도 개혁방안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지역구도 타파와 정치발전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권고한 제도"라며 "새누리당이 이를 외면한 채 새정치연합의 당리당략이라고 폄훼하는 것이야말로 당리당략"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오는 10일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도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하기로 해 주목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