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서 사죄나 침략 뺄듯… 공명당은 삽입 요구

입력 2015-08-08 00:30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전체적으로 계승하되 과거에 대한 ‘사죄’나 과거 전쟁을 ‘침략’으로 표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도통신은 7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정부 관계자는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중국이 ‘사죄’나 ‘침략’이라는 개별 문구보다는 역사 인식의 계승을 더 중시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니혼TV도 아베 총리가 ‘침략’이라는 직접적인 표현을 담화에 넣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도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해 전날 아베 담화 자문기구가 일본의 침략 사실을 인정한 보고서를 낸 것과 관련해 “역사에는 여러 견해가 있고, 모든 사람이 같은 인식을 갖고 있지 않는 부분도 당연히 있다”며 “그런 것도 포함해 보고서를 음미하면서 내 생각으로 담화를 정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수 진영에서도 담화에 ‘침략’과 ‘사죄’를 담으라는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보수 세력의 거두격인 나카소네 야스히로(97) 전 총리는 ‘문예춘추’ 기고문에서 “담화에 역사의 부정적인 부분을 직시할 용기를 가져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친 아베 성향의 요미우리신문도 사설에서 “담화에 간접 표현으로라도 ‘침략’과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를 포함시키라”고 주문했다.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도 이날 밤 아베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과거 전쟁에 대한 사죄와 식민지 지배, 침략 등 무라야마 담화(전후 50년 담화)의 핵심 문구를 아베 담화에 넣을 것을 요구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자민당 간부회의에 참석해 담화를 14일 각의(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