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4대 개혁 총대 멨지만 야당은 싸늘-입법 진통 예고

입력 2015-08-07 15:43
구성찬 기자

여야 지도부의 7일 오전 회의는 박근혜 대통령의 전날 대국민 담화에 대한 총평으로 시작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당은 박 대통령의 절박한 현실인식에 뜻을 함께하면서 미래를 향한 행보에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노동계에 대해 “대승적 결단을 내려서 화해와 타협의 장으로 복귀해주기 바란다”며 노사정위원회 복귀를 촉구했다. 야당에 대해서는 “국회와 정치는 오직 국민을 위해서 존재한다”며 “정치권은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고, 질 나쁜 일자리로 내몰려서 신음하고 있는 청년들의 절망의 눈물을 닦아주고 그들에게 희망의 미래를 심어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리당략에 빠져 정쟁에 몰입하지 말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박 대통령이 내세운 4대 개혁을 적극 지원하자고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하지만 야권은 한 목소리로 싸늘한 혹평을 내놓았다. 또 “일방적 양보와 타협만 요구한다”고 반발하고 나서 여권이 노동개혁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할 입법 과정에서 만만치 않은 저항이 예상된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확대간부회의에서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는 경제실패에 대한 성찰도, 위기에 대한 원인 진단도, 문제를 해결할 처방도 없었다”며 “올바른 해법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담화 내용도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는 “정규직 임금을 줄여 청년 일자리를 늘린다는 발상은 대책이 안 되고 경제 실패를 정규직 탓으로 돌리는 무책임한 발상”이라고 했다. 또 “임금피크제는 노사자율에 맡기고 청년고용 확대를 장려하면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동시간 단축이 일자리를 늘리는 더 확실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는 노동자에게 일방적인 양보만 요구하고 알맹이 없는 개혁과제만 요구했다”고 말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국회와 야당과의 공감 대신 지시만 있었다. 마치 내 할 말은 다 했으니 전화를 끊어버린 것처럼 참으로 무례한 담화였고 결과적으로 ‘담벼락 대화’가 되고 말았다”고 평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