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ASEAN) 10개국 외교장관들이 평화적 방식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조기 재개 여건 마련을 촉구했다.
아세안 국가 외교장관들은 지난 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한 제48차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AMM)의 공동성명(Joint Communique)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6일 오후 발표된 성명에서 아세안 장관들은 "평화적 방식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통일을 위한 길을 닦을 6자회담의 조기 재개와 지속적인 남북대화를 위해 필요한 여건 조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또 "한반도에서의 신뢰구축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북한이 모든 관련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2005년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 공약을 완전히 준수하기를 독려했다"고 밝혔다.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아울러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한반도의 최근 전개 상황에 대해 우려도 표명했다.
성명은 아세안 10개국간의 회의 결과물로, 최대 현안인 남중국해 상황에 대한 '심각한 우려'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과 아세안 간 협력을 평가하는 내용도 담겼다.
관심은 아세안뿐만 아니라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회담 당사국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지난 6일 개최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의 의장성명이 어떻게 나올지에 쏠리고 있다.
회의는 당일 폐막했지만, ARF 참가국들이 남중국해와 북핵·북한 문제를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는 데 시간이 걸려 의장성명 발표가 늦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반도 이슈와 관련해서는 북한의 인권문제 반영을 시도하는 등 예년보다 진전된 표현을 담으려고 한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번 회의 분위기와 관련해 "아세안 중에서도 적지 않은 국가가 북한을 지칭하며 서방과 비슷한 강도와 내용의 비핵화를 촉구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한편, 아세안 관련 연례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했던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7일 저녁 늦은 시각 귀국할 것으로 전해졌다.
윤 장관은 ARF를 비롯해 아세안+3(한중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한·아세안 ,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등의 다자 회의에 참석했으며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EU), 인도네시아 등과 양자 접촉을 가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완전·검증가능 한반도 비핵화 여건 마련돼야”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공동성명
입력 2015-08-07 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