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는 3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메르스 사태’에 대한 사과는 포함되지 않았다. 반드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던 야권은 이를 강력 비판했다. 앞으로도 계속 논란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6일 춘추관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면서 메르스 사태를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이미 지나간 일’보다는 경제 재도약과 노동개혁 등 ‘앞으로 해야 할’ 시급한 국정과제들에 메시지를 집중시키겠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보건복지부 장관 및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교체를 통해 메르스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는 점도 고려된 듯하다.
그러나 야당은 즉각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간사인 김성주 의원은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담화문은 포고문이 아니다”라며 “며칠 전 복지부 장관을 경질했으면 오늘은 메르스 문제를 언급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 “앞으로 우리가 (의료 분야에서) 공공성을 강화해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에 대해 뼈아픈 실책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박 대통령의) 진심어린 사과가 있었어야 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도 “메르스 사태 때문에 국민이 많은 고통을 겪었는데 그에 대해서 한마디 사과 말도 없어 아쉽다”라고 했다.
같은 당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국회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은) 전 국민을 불안과 혼란에 빠트렸던 메르스 사태에 대해서는 한마디 사과도 없었다”며 “오늘 대국민 담화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지시하는 훈시의 자리였다”고 가세했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은 “메르스 사태에 대한 사과는커녕 국민들에게 훈시나 늘어놓는 대통령의 모습이 한심하다 못해 어처구니가 없다”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메르스 대국민 사과 없었다…야당 질타
입력 2015-08-06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