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휴가를 마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여당에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빅딜’을 제안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힌 데다, 이종걸 원내대표와 혁신위원회 등 당내에서조차 반대 목소리를 키우고 있어 성사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문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수용한다면, 우리 당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며 “여야가 (선거구 재획정 문제를 포함해) 3가지를 함께 논의해 일괄타결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의원정수 확대 없이 의석 배분 조정만으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여야가 각자의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을 중심으로 통 크게 합의하자”고 했다.
하지만 문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의 구체적 방법은 언급하지 않은 채 “오픈프라이머리도 구체적으로 여러 방안이 있으므로 열어놓고 이야기하면 되는 것”이라고만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꺼내놨던 ‘여야 동시 실시안’을 그대로 받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지난달 27일 이 안에 대해 ‘위헌’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당내 곳곳에선 반대 의견이 쏟아졌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최고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는 공천제도이고,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선거제도라 같은 측면에서 거론하긴 어렵고 좀 더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며 “주고받는 방식으로 하는 건 현재로선 좀 빠른 판단이 될 것이라고 보인다”고 했다. 이어 “아직까지는 심층적 논의나 토론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고 말해 지도부의 일치된 의견이 아님을 시사했다.
지도부의 한 의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표가 어떻게 의원총회 한 번 열지 않고 이런 제안을 할 수 있느냐”며 “의원 정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오픈프라이머리만 받는다면 결국 여당이 다 이기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 대표로부터 전폭 지지를 받아 온 혁신위 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터졌다. 한 혁신위원은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맞 트레이드’가 가능한 사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어떻게 이 두 가지를 같은 테이블에 올려 놓고 협상하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문 대표의 깜짝 제안은 여야가 서로 평행선만 그리고 있는 선거제도 개편 논의에 물꼬를 터뜨리는 동시에 대여 및 당내 주도권 회복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로서는 ‘빅딜’만 성사된다면 당 혁신위가 내놓은 권역별 비레대표제를 실현할 뿐 아니라 차기 총선에서의 일방적인 ‘여대야소’ 정계 구도를 바꿀 수 있다. 또 국회의원 정수 확대 주장으로 국민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당의 이미지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이슈분석] 휴가 복귀한 문재인 빅딜 제안
입력 2015-08-05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