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60세 연장, 청년 고용 빙하기 온다…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로 8000여개 일자리 창출

입력 2015-08-05 10:30
정부가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도입을 독려해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전력, LH 등 주요 공공기관장과 관계부처 장차관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기관 현안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최 장관은 “내년부터 정년이 60세로 연장되면 정년퇴직자가 2년간은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향후 수년간 청년 고용 빙하기를 맞게 될 것”이라며 “임금피크제가 청년 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차선의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추진 중인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절감재원으로 신규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겠다는 점에서 과거 방식과는 다르다”며 “중장년 세대가 청년들에게 정규직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제공하기 위한 ‘상생의 노력'이라는 점에서 노조가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가 지난 5월 임금피크제 권고안을 발표한 이후 지난달까지 공공기관 도입현황을 점검한 결과를 보면 전체 316개 공공기관 중 101곳이 임금피크제 도입(안)을 확정했고 215개 기관이 도입(안)을 마련 중이다. 이미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도입이 완료된 11개 기관은 청년인력 200여명을 신규로 채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전체 공공기관의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향후 2년간(2016~17년) 80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기관이 올해 말까지 임금피크제를 도입 완료할 수 있도록 지난 달 추경에서 상생고용지원금 123억원도 이미 반영한 상태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청년을 신규채용한 기관에는 1인당 540만원씩 2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한국전력이 내년부터 채용보장형 '고용디딤돌 프로젝트'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한전은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 협력업체에 직무교육과 인턴십을 지원, 2016∼2017년 2년간 협력업체가 정규직 600명을 채용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