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의장성명 초안에 북한에 기본적 인권 보호를 촉구하는 문구가 포함됐다고 4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교도는 이날 입수한 의장 성명의 최근 초안을 토대로 참가국들이 올해 성명을 통해 북한에 인권보호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교도는 이 초안이 북한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문 약어인 ‘DPRK’로 지칭하면서 “(참가국들은) 북한에 기본적 인권과 국민의 자유를 존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언급했다고 소개했다.
성명 초안에는 또 참가국 장관들이 “북한 인권 상황과 관련한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지난해 ARF 의장국 미얀마가 채택한 성명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고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우호적 여건 조성을 독려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교도는 그러나 올해 성명 초안에 비슷한 문구가 들어 있는지는 보도하지 않았다.
의장성명 초안에는 중국이 인공섬 건설 등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영유권 갈등을 빚는 남중국해 문제를 우려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초안은 중국의 국가명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남중국해의 몇몇 특정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간척·건설 사업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참가국들은 모든 당사자들이 건설적으로 임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불안하게 하는 일방적인 행동을 삼가줄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교도는 이런 표현이 앞서 나온 초안보다 강해진 것이며 ‘간척’과 같은 단어 선택도 더 구체적이라고 평가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다자간 안보문제 협의체인 ARF는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과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 총 27개국이 참가한다.
ARF는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지역내 안보협의체인 데다 북한 외에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국이 모두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연례 외교장관 회의 때마다 각국 의견을 수렴한 결과문서인 의장성명 문안을 둘러싸고 남북한 등 관련국간에 외교전이 전개된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아세안안보포럼 의장 성명 초안 “북한, 기본인권 보호해야”
입력 2015-08-04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