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사망자 10명 중 약 6명은 60세 이상 고령층이며 폭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가 높은 시군구는 대구·경북과 제주도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3일 공개한 ‘폭염정보 수집연계를 통한 폭염위험지도 작성 및 활용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13년까지 확인된 폭염사망 인원은 총 547명이다. 이 가운데 2013년 사망자 46명을 뺀 22년간 사망자 501명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폭염사망자는 남성이 67%로 여성의 2배였다.
연령은 70대가 19.2%로 가장 많고 이어 80대(17.8%), 40대(14.8%), 60대(13.8%), 50대(13.0%), 30대(6.8%), 20대(6.0%), 90대(5.0%) 순이었다. 폭염사망자의 55.8%가 60대 이상이었다.
1991년부터 2013년까지 23년간 각 지역의 폭염사망 인원은 포항과 합천이 각각 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서구·장흥·밀양·하동 6명, 대구 동구·대구북구·경주·남원 5명이었다.
연구원이 시·군·구 지역의 폭염위험도를 산출한 결과 시 지역 중에는 제주(4.4), 포항(4.4), 경주(4.3) 등 순으로 폭염위험도가 높게 나왔다. 군 지역에서는 달성(3.2), 의성(3.1), 창녕(3.0)이, 특별·광역시의 구 중에는 대구 동구(3.9)·달서구(3.9)·수성구(3.7)가 높았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폭염사망 56%는 60세 이상…대구·경북·제주 ‘고위험지역’
입력 2015-08-03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