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지지율,모든 지역과 계층서 하락” 전주 대비 2.2%포인트 하락...34.9%

입력 2015-08-03 10:21

박근혜 대통령의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여권 지지율은 하락한 반면, 야권 지지율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7월 5주차(27~31일) 주간집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127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1주일 전 대비 2.2%p 하락한 34.9%(매우 잘함 9.7%, 잘하는 편 25.2%)를 기록했고,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9%p 상승한 58.5%(매우 잘못함 38.8%, 잘못하는 편 19.7%)를 기록했다. 부정평가와 긍정평가 격차는 19.5%p에서 4.1%p 벌어진 23.6%p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0.3%p 증가한 6.6%.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거의 모든 지역과 연령, 새누리당 지지층을 제외한 다른 정당지지층, 보수층을 제외한 다른 정치성향 계층에서 하락했는데, 이는‘국정원 해킹의혹’이 가라앉지 않고 있는데다, 동생 박근령씨의 일본 관련 발언이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의 일간 지지율은, 국정원 해킹 관련 국회 정보위 보고가 있었던 27일(월)에는 전 일 조사(24일, 금) 대비 2.4%p 하락한 34.5%를 기록했고, 정부가 ‘메르스 종식’을 사실상 선언한 28일(화)과 29일(수)에는 각각 34.8%, 36.4%로 소폭 상승했으나, 박근령씨의 ‘위안부 사과,’ ‘신사참배’ 등 일본 관련 발언을 둘러싸고 논란이 증폭되었던 30일(목)에는 전 일 대비 2.3%p 하락한 34.1%로 주간 최저치를 기록했다가, 31일(금)에는 34.7%로 상승, 최종 주간집계는 2.2%p 하락한 34.9%로 마감됐다.

박 대통령의 주간 지지율은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8.6%p), 부산·경남·울산(▼4.4%p), 광주·전라(▼2.7%p), 연령별로는 60대 이상(▼4.6%p), 40대(▼3.9%p), 30대(▼3.9%p), 직업별로는 자영업(▼6.8%p), 사무직(▼2.6%p), 지지정당별로는 무당층(▼2.5%p), 새정치연합 지지층(▼2.3%p), 정치성향별로는 중도보수층(▼3.0%p), 진보층(▼1.7%p), 중도층(▼0.9%p) 등 거의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1주일 전 대비 3.0%p 하락한 36.5%로 30%대 중반으로 내려앉은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2.1%p 반등한 28.1%를 기록했다. 양당의 격차는 13.5%p에서 5.1%p 좁혀진 8.4%p로 집계됐다. 정의당은 0.5%p 상승한 5.5%를 기록했다. 무당층은 0.9%p 증가한 27.4%.

새누리당의 하락과 새정치연합의 상승은 국정원의‘내국인 사찰 사실무근’해명, ‘로그파일 자료제출 거부’ 입장 고수 등에 대해 야당이 ‘셀프 검증, 셀프 면죄부’라고 비난하면서, 중도, 진보 성향의 기존 새누리당 지지층이 무당층으로 일부 이탈하고, 무당층으로 이탈했던 진보층 일부가 새정치연합으로 이동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보수층(▲1.8%p)에서는 상승했으나 중도층(▼2.7%p)과 진보층(▼2.9%p)에서는 하락했고, 새정치연합은 진보층(▲9.9%p)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이번 주간집계는 2015년 7월 27부터 31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은 18.0%, 자동응답 방식은 5.4%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