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형제의 난이 진실게임 양상으로 진행되면서 베일에 싸인 롯데가(家) 지분구조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각각 “과반 이상의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을 확보했다”고 주장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한?일 양국에 걸친 롯데그룹 전체 경영권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중요한 기업이다. 그러나 비상장사라 한국은 물론 일본에도 정확한 지분구조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롯데그룹 관계자나 언론보도 등을 통해 알려진 롯데홀딩스 지분구조는 신격호 총괄회장이 28%, 광윤사가 27.65%, 신동주 전 부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각각 20% 안팎을 가진 것으로 추정됐다.
롯데그룹은 이 같은 추정을 근거로 “신동빈 회장이 이미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의 과반을 확보했다”고 밝히고 있다. 신동빈 회장이 자신의 지분(약 20%) 외에도 우리사주 지분 12%, 광윤사 지분 27.65%를 대표하는 이사들을 우호 세력으로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신동주 전 부회장의 반박으로 이 주장은 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신 전 부회장은 30일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롯데홀딩스 지분과 관련, 신 총괄회장이 대표로 있는 자산관리회사(광윤사)가 33%, 자신이 2% 미만을 가지고 있으며, 32%가 넘는 종업원 주식지분을 합하면 롯데홀딩스 지분의 3분의 2 이상을 확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 부회장은 이어 롯데홀딩스나 자산관리회사(광윤사)에서 신 회장의 우호지분은 자신보다 적다고 덧붙였다.
롯데홀딩스의 우호지분 확보 여부를 두고 양측 주장이 서로 엇갈린 것이다. 재계 일각에서는 지금껏 알려진 바와 달리 신동빈 회장이 경영권 다툼에서 확실한 승기를 잡은 것이 아니라는 해석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신 총괄회장의 아슬아슬한 주식배분 방식이 형제간 경영권 다툼을 불렀다는 지적도 많다. 신 총괄회장은 당초 ‘일본은 신 전 부회장, 한국은 신동빈 회장’이라는 원칙 아래 각각 회사운영을 맡겨왔다. 그런데 정작 두 아들에게 엇비슷한 지분을 배분했다. 한국롯데의 주요 계열사인 롯데쇼핑의 경우 신 전 부회장(13.45%)과 신동빈 회장(13.46%)의 지분 차이가 0.01%에 불과하다. 두 형제가 보유 중인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도 엇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두 형제간 지분을 둘러싼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존했던 것이다.
신 총괄회장은 두 형제의 지분이 비슷한 상태에서 자신의 지분을 통해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며 그룹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한국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제2 롯데월드 건설을 밀어붙여 성사시켰다. 일본에서도 지난해말 말 한마디로 신 부회장을 그룹 경영에서 완전히 배제시켰다.
이후 신 회장은 신 전 부회장이 이끌던 일본롯데까지 장악하며 그룹의 경영권 분쟁은 종식된 듯 보였다. 그러나 신 총괄회장의 ‘건강이상 설’ 이라는 돌발변수가 발생하면서 상황이 꼬이기 시작했다. 신 총괄회장이 최근 일본롯데홀딩스 이사들을 해임한 과정과 이유가 석연치 않다면서 신 총괄회장의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된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신 총괄회장의 인지기능 이상으로 그동안 해오던 중재기능이 마비되면 롯데가 형제간 지분 다툼을 통한 경영권 분쟁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크고, 결과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베일에 쌓인 롯데가 지분구조... 진실은 뭘까?
입력 2015-07-31 02:26 수정 2015-07-31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