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청량음료인 코카콜라를 마시고 나서 한 시간 후 몸의 변화를 알려주는 그래픽이 인터넷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미국 CBS 방송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진실을 처방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각종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약사 변절자’(http://therenegadepharmacist.com)라는 웹사이트는 콜라 섭취 후 몸 상태의 변화를 10∼20분 간격으로 요약해 그래픽에 담았다.
그래픽에 따르면 콜라 섭취 10분이 지나면 우리 몸은 하루 설탕 권장량인 티스푼 10개 분량을 마신 것처럼 변한다. 인산 덕분에 지나친 단맛에 따른 구토는 발생하지 않는다.
20분 후부터는 혈당량과 인슐린 분비량이 동시에 급증하고 간은 설탕을 지방으로 바꾼다.
40분 후에는 콜라에 함유된 카페인 성분의 체내 흡수가 완료된다.
이 즈음에 간이 계속 설탕 성분을 혈류로 보냄에 따라 동공이 확장되며 혈압이 상승한다. 카페인은 뇌 속의 아데노신 수용체와 반응해 졸음을 막아 준다.
45분이 지나면 단맛 때문에 쾌락과 관련된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생산량이 늘어난다.
‘약사 변절자’는 마약성분인 헤로인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덧붙였다.
60분이 되면 인산과 칼슘, 마그네슘, 아연이 결합해 신진대사를 더욱 촉진한다. 다량의 설탕과 인공감미료가 곁들여져 칼슘의 소변 배출량이 늘어난다.
이후 카페인의 이뇨 작용이 본격화해 화장실로 향하지만 이미 콜라 안에 포함된 수분을 소변으로 뺀 뒤라 ‘슈거 크래시(sugar crash)’ 현상을 겪는다. 당분이 많이 든 음료를 마신 뒤 느끼는 무력과 피로 증상이다.
CBS 방송은 최근 갤럽 여론 조사를 인용해 미국인의 48%가 매일 청량음료를 마시고 있다면서 “많은 전문가는 슈거 크래시를 유발하는 당분 함유 음료 대신 물을 많이 섭취할 것을 권한다”고 소개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콜라 마신 뒤 60분 내 몸은 이렇게 변한다" - ‘약사 변절자’ “헤로인 같은 작용”
입력 2015-07-30 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