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41% "日공격당하면 비폭력으로 저항" - 교도통신 전후 70년 여론조사

입력 2015-07-29 21:25 수정 2015-07-29 21:42
'집단 자위권 법안에 반대하는 어머니 모임'의 도쿄 시위. 교도연합뉴스

일본 국민 40% 이상이 일본이 공격당할 경우 ‘비폭력으로 저항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도통신은 종전 70주년을 맞아 5∼6월 우편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만약 외국이 일본을 공격하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41%가 ‘비폭력으로 저항할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29일 보도했다.

‘무기를 들고 싸운다’는 29%에 불과했고 ‘도망친다’가 16%, ‘항복한다’가 7%로 집계됐다.

아베 신조 정권이 평화헌법에 대한 해석을 바꿔 타국에 대한 공격을 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무력을 행사하는 집단자위권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실제 여론은 이와 많이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조사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에서 평화헌법을 이대로 존속시켜야 한다는 응답이 60%, 바꿔야 한다는 응답은 32%로 나타났다.

과거 일본이 벌인 전쟁에 대해 ‘침략전쟁이었다’는 응답이 49%를 차지해 ‘자위를 위한 전쟁이었다’는 답(9%)을 크게 웃돌았다.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는 응답도 41%로 집계됐다.

아베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에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사죄 표현을 넣을지에 대해 ‘포함해야 한다’는 답이 67%로 ‘포함할 필요가 없다’(30%)를 크게 앞질렀다.

하지만 중일전쟁·태평양전쟁에서 일본이 피해를 준 주변국에 대한 사죄가 ‘충분히 이뤄졌다’는 답이 28%, ‘어느 정도 이뤄졌다’는 답이 54%로 집계됐다.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에 총리가 참배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참배해야 한다’는 대답이 55%로 반을 넘었다.

일본 외교가 가장 중시해야 할 것을 묻는 질문에는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라는 응답이 42%로 가장 많았다. 한일관계에 대해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70%였다.

일본이 ‘나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부정적 견해가 52%로 집계돼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답(46%)보다 많았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