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대책본부 재편…콜센터·선별진료소는 유지

입력 2015-07-28 13:20
국민일보 DB

그동안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관련 상황을 총괄하던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가 메르스 상황실과 메르스 후속조치태스크포스(TF)로 재편된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28일 “모든 일상생활을 정상화해주기 바란다”는 내용의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한데 따른 후속조치다. 보건복지부는 다만 상황이 완전히 마무리될 때까지는 대응체계는 계속 유지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복지부는 국민안전처 범정부메르스지원대책본부는 사실상 해산하도록 하고, 시·도 메르스 관리대책본부와 시군구 보건소는 비상대응 연락체계를 유지하되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하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사태 초반 메르스 환자가 급증하기 시작한 5월29일 설치된 뒤 61일 동안 메르스 방역을 총괄해왔다.

복지부는 공식 종식선언까지는 신규 환자 발생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을 방침이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를 받아들여 환자가 1명도 남지 않게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28일이 지난 뒤 정식으로 메르스 종식선언을 할 계획이다. 현재 메르스 유전자 검사(PCR)에서 최종 음성 판정을 받지 못한 환자는 1명이다.

복지부는 국민안심병원의 응급실 선별진료소는 계속 유지하되, 일반 환자 선별진료소는 각 병원의 사정에 따라 탄력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폐렴환자 선제 격리조치도 기존대로 유지하고 중동지역 입국자에 대한 공항 내 게이트 검역과 증상에 대한 모니터링도 계속 진행한다. 메르스 콜센터(국번 없이 109)는 메르스 사태가 완전히 마무리될 때까지 운영을 계속하고 메르스 포털(www.mers.go.kr)은 메르스 공식 종식 이후에도 메르스 관련 정보의 기록과 지속적인 대국민 정보 제공에 활용된다.

또 메르스 완치자와 환자가 거쳐 간 의료기관에 대한 후속조치를 본격화한다. 퇴원환자의 후유증을 평가해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사후관리프로그램을 마련하는 한편 사례판정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후유증 치료와 장례비를 지원한다.

메르스 환자 등을 진료한 의료기관의 손실에 대해서는 손실보상TF의 실태조사와 손실보상심의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손실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추경예산과 예비비 집행을 통해 보상한다. 복지부는 “감염병을 유입단계부터 선제적인 차단하고 감염병을 상시 감시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은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여기에는 병원감염 현장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 방안도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