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부진과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3만 달러를 달성할 것이라는 당초의 기대감은 점차 멀어지고 있다.
27일 국내외 경제예측기관들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NI는 2009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7600달러에 머물러 작년(2만8100달러)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 2.6%와 원·달러 평균환율 1109원, GDP디플레이터 증가율 0.5% 등을 가정한 것이다.
LG경제연구원의 이근태 수석연구위원은 “한국의 잠재성장력이 한 단계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면서 “내수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이용화 연구위원은 “올해 초 만해도 3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었다”면서 “그러나 투자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성장동력 자체가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제는 심리인데 세월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문에 소비심리가 위축됐다”면서 “하반기에 추경이 얼마나 잘 활용될지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8100달러였으며 올해나 내년에는 3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둔화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하반기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달러강세가 진행되면서 3만 달러 도달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올해 1인당 국민소득 감소 가능성…글로벌 경기 부진 탓
입력 2015-07-27 17:04 수정 2015-07-27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