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1400광년 거리에서 발견됐다. ‘케플러-452b’로 명명된 이 행성은 크기와 공전주기, 항성과의 거리 등이 지구와 비슷해 액체 상태의 물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커 과학자들이 흥분하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3일(현지시간) 전 세계에 인터넷으로 생중계된 브리핑을 통해 항성 ‘케플러-452'와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백조자리에 있는 항성 케플러-452는 온도가 태양과 비슷하다. 지름은 태양보다 10% 더 크고 밝기는 20% 더 밝다. 이 항성의 나이는 60억 년으로, 우리 태양(45억년)보다 15억 년 더 오래됐다.
그 주변을 도는 행성 케플러-452b는 지름이 지구의 1.6배이며, 공전 궤도는 액체 상태의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거주 가능 구역’ 내에 있다. 이런 조건을 만족하며 지구 크기와 비슷한 외계 행성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지금까지 발견된 ‘거주 가능 구역’ 행성들 중 가장 크기가 작다.
케플러-452b의 공전주기는 385일로 지구보다 약 5% 길고, 이 행성과 그 모항성 케플러-452의 거리는 지구-태양 간의 거리보다 5% 멀다. 이 행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바위로 돼 있을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됐다.
연구팀은 이 발견을 학술지 ‘디 애스트로노미컬 저널’에 게재할 예정이다.
NASA 과학 미션국 부국장 존 그런스펠드는 “다른 항성들이 행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지 20년이 되는 해에 케플러 외계행성 계획이 지구와 우리 태양을 가장 닮은 행성과 항성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흥분되는 결과는 우리가 지구 2.0을 찾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가도록 해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케플러 망원경의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NASA 에이미스 연구소의 존 젠킨스는 “케플러-452b는 지구보다 나이가 많고 몸집이 큰 사촌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이 행성이 지구의 진화하는 환경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또 하나의 지구-1400년 광년 거리에 지구와 비슷한 행성 발견-물 있을 가능성
입력 2015-07-24 0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