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자체적으로 국가정보원의 민간인 사찰 ‘흔적 찾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국정원의 해킹이 의심되는 인사들로부터 자발적으로 제출 받은 스마트폰을 정밀 검사하며 ‘해킹 흔적’을 집중 추적 중이다.
새정치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 관계자는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살펴봐 달라는 분들 중에 국정원 해킹이 합리적으로 추정되는 분에 한해, 본인 동의를 받아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정밀 검사는 위원회 외부의 전문가팀이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가 그동안 여의도 당사에 설치한 ‘휴대폰 해킹검진센터’에서 방문객의 스마트폰 감염여부를 확인하던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조치다.
국민정보지키기위원회가 스마트폰에서 찾아내려는 것은 국정원이 구입한 해킹 프로그램 ‘리모트컨트롤서비스(RCS)’의 삭제 흔적이다. 원격 삭제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RCS의 흔적을 찾아낸다면 국정원 민간인 사찰 의혹을 기정사실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원회는 현재 비공식으로 진행 중인 정밀검사의 공식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 지도부는 연일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 직원 임모 과장 자살사건을 언급하며 “비극적 사건이 발생했는데도 박 대통령이 또다시 긴 침묵에 빠진 것은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국정원의 대국민 해킹 사찰 의혹은 정권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며 국회 청문회와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숨진 임 과장이 운전한 차와 시신이 발견된 차의 번호판 색깔이 다르다는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임 과장이 운행한 차의 번호판은 흰 색이지만, 시신이 발견된 차량의 번호판은 초록색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건을 수사 중인 경기 용인동부경찰서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빛 반사 탓에 녹색바탕에 흰색 글씨가 전체적으로 흰색 번호판처럼 보이는 것뿐”이라며 전 의원 주장을 일축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자체적으로 국정원 사찰 흔적 찾기 나선 새정치연합
입력 2015-07-22 1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