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안철수 조준포격’에 총력을 쏟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이 국가정보원 해킹 의혹 규명을 위해 자료제출을 요구한 대목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안 의원이 ‘공개돼선 안 되는 초특급 국가기밀’을 국정원으로부터 넘겨받겠다고 나섰다는 논리다. IT(정보통신) 보안 전문가를 자처하면서 국가안보와 직결된 기밀의 성격조차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난도 섞여 있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22일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국정원이 해킹 프로그램을 가지고 어떤 정보공작 활동을 했느냐는 건 100% 초특급 국가기밀”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지금 야당에서 무슨 위원장을 맡고 있는 분이 이런저런 자료를 다 내놓으라 (국정원을) 윽박지르는데 이건상식을 뛰어넘는, 있을 수 없는 폭거”라고 했다. 해킹 프로그램인 리모트컨트롤시스템(RCS)의 모든 로그파일을 포함한 7개 분야 30개 자료를 국정원 및 통신사에 요청한 안 의원을 정면 겨냥한 말이다.
새누리당은 방대한 분량의 국가기밀의 외부유출은 물론, 민간 전문가 참여 검증이라는 야당의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라디오방송에 나와 “문제는 안 의원이 자료를 요청해서 외부로 (유출해)달라는 것”이라며 “국가안보 관련 자료는 외부로 유출할 수 없다”고 했다.
안 의원이 온라인 보안업체인 ‘안랩’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서 의혹을 파헤칠 자격조차 없다는 주장도 나왔다. ‘안철수 저격수’로 불리는 이노근 의원은 “자신이 대주주인 보안업체의 업무와 연관성이 깊은 해킹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업무를 맡을 수 없다”며 “안보를 정치상품으로 만들어 일종의 안보장사를 하려는 행태”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의원은 안 의원이 보유주식을 팔거나 백지신탁을 하고 의혹 규명에 나서라고도 했다.
야당이 확실한 증거도 없이, 북한과 대치하는 국가안보 특성도 감안하지 않고 무책임한 정쟁으로 몰고 간다는 주장도 나왔다. 심재철 의원은 “무분별한 의혹 제기는 중지돼야 한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안철수 십자포화 쏟아내는 새누리당
입력 2015-07-22 1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