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군도) 부근 해역의 환경 보호 등을 명분으로 과학연구기지, 관측소 등 각종 시설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영유권 강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베트남과 필리핀 등 주변국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인민일보는 22일 중국 국가해양국이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에 관한 제13차 5개년 계획(13·5규획, 2016∼2020년)’ 기간 동안 ‘난사군도 부근 해역 보호에 관한 계획’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국가해양국은 난사군도와 주변 해역의 경우 생태환경이 기름 유출 사고 등으로 위협받고 있고 육지에서 거리가 먼 데다 기초시설과 공공서비스 기능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앞으로 5년 동안 생태환경 감시 보호 등 서비스 수준 제고, 건강한 생태환경 보장, 해양 검측 및 예보 기능 강화, 생태 에너지 이용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양과학연구센터, 해양생물 유전자은행, 생태 및 해양 관측소, 기름유출 사고 등에 대비한 응급 처리센터 등 각종 기지와 시설을 설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국제 협약 상에서 중국에 부여한 책임이자 의무를 다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은 난사 군도 내 일부 암초에 간척과 활주로 건설 공사 등을 진행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초래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중국 위협론’을 부각시킨 일본의 방위 백서에 대해 “강력한 불만과 반대를 표시한다”고 밝혔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자로 외교부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기자와의 문답’ 형식의 성명에서 “일본 방위백서는 다시 한번 사실을 무시하고 중국의 정당한 군사력 발전과 해양 활동에 대해 왈가왈부했다”면서 “악의적으로 ‘중국위협’을 부각하고 인위적으로 긴장을 조성했다”고 비난했다.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와 관련, “이곳은 예로부터 중국의 고유영토로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하며 영토주권을 강력히 수호할 것”이라며 “일본은 이에 대해 그 어떤 비현실적 환상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이와 별도로 중국 국방부는 특히 백서가 남중국해 문제를 거론한 것과 관련, “당사국이 아닌 일본은 갈등을 조장하고 이간질해서는 안 된다”면서 “영토주권과 해양권익을 수호하겠다는 중국 군대의 결심과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중국의 비판에 대해 “전혀 합당하지 않다”고 일축했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중국 영유권 분쟁 지역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 부근에 시설 건설…주변국 반발 예상
입력 2015-07-22 15:32 수정 2015-07-22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