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지화, 신4인방 처리 완료

입력 2015-07-21 16:26
연합뉴스TV 유튜브 캡처

중국 당국이 고심 끝에 링지화 전 통일전선공작부장의 사법 처리 절차에 착수했다. 저우융캉 전 정치국 상무위원의 무기 징역 선고 이후 주춤했던 시진핑 국가주석의 반부패 움직임이 다시 활기를 얻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20일 중앙정치국회의를 열고 부패 혐의로 당내 조사를 받아온 링지화에 대해 공직·당적을 모두 박탈하는 ‘쌍개(雙開)’ 처분을 내렸다. 당 지도부는 중앙기율검사위가 제출한 ‘링지화의 엄중한 기율위반에 관한 심사보고'를 통과시켰다. 심사보고에서 드러난 링지화의 혐의는 정치기율·정치규범·조직기율·보밀기율(비밀준수) 위반, 거액의 뇌물수수, 간통 등이다. 중앙기율위로부터 이 사건을 넘겨받은 최고인민검찰원은 “링지화를 체포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저우융캉과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무기징역), 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사법 처리 중 방광암으로 사망) 등에 이은 링지화의 사법 처리로 시진핑 체제에 도전한 ‘신4인방' 처리는 일단락됐다.

관영 언론들은 일제히 당 지도부의 결정에 호응하며 반부패 운동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1일자 1면에 링지화의 쌍개 처분 소식과 별도로 ‘공산당과 부패는 물과 불처럼 양립할 수 없다’는 제목의 논평을 게재했다. 인민일보는 “종엄치당(從嚴治黨·엄격한 당 관리)은 결코 빈말이 아니며 부패 처벌에 예외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관영 신화통신 역시 이날 논평에서 “부패 현상은 당의 건강한 살을 파고드는 독소”라며 “당은 도당을 짓고, 끼리끼리 어울려 무리를 이루고, 이익을 나누는 행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형까지 관측됐던 저우융캉이 예상과는 달리 비밀 재판을 통해 무기징역에 처해지자 일각에서는 중국의 ‘대형 호랑이 사냥’이 막을 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있었다. 특히 장쩌민, 후진타오 등 원로들의 반발로 링지화의 사법 처리가 주춤대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었다. 링지화는 후진타오 전 주석의 비서실장을 지낸 핵심 측근이다. 로이터통신 등은 “링지화의 처리 문제는 중국 지도부에 ‘딜레마’였다”고 전했다. 때문에 이번 링지화 관련 발표는 시 주석의 반부패 의지가 확고함을 과시한 것이라는 평가다. 장밍 인민대 교수는 “(이번 발표는) 다시 한번 반부패 운동에 힘이 실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의 권력도 한층 더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매년 여름 전·현직 지도부가 모여서 정책을 논의하는 이른바 ‘베이다이허 회의’를 얼마 남겨두지 않고 발표된 점도 의미심장하다. 이미 원로들이 백기를 들었거나 최소한 ‘양해’를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후 전 주석은 링지화의 수사 착수 시점에 이미 이를 용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신화통신은 링지화의 처리 결과를 발표하면서 링지화가 후 전 주석을 위해 일했다는 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오는 10월 개최될 중국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18기 5중전회)에서 링지화 등 비리로 낙마한 인사들의 ‘퇴출'이 공식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