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위험’ 광주 평화맨션, 대피한 지 1년 되도록 이주대책 없어

입력 2015-07-21 17:16

광주 중흥동 평화맨션 입주자들이 붕괴사고의 위험을 피해 집을 떠난 지 1년이 됐으나 아직까지 뾰족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7월 25일 지하기둥 균열이 발생한 평화맨션에 대해 재난위험시설 판정이 내려진 이후 대부분 입주자들이 전월세집을 전전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평화맨션 2개 동 172가구 중 지난해 7월 주민 대피명령이 선포된 B동 60가구는 모두 외부로 거처를 옮겼다. 붕괴위험이 덜해 대피명령이 내려지지 않은 A동은 현재 전체 112가구 중 37가구만 친인척 집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입주민들은 “내 집을 코앞에 두고 기약 없는 더부살이를 언제까지 해야 하느냐”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하지만 기둥균열로 대피명령이 내려진 지 1년이 되도록 마땅한 이주대책은 세워지지 않고 있다.

광주시와 북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도시공사 도움을 받아 일부 입주민들에게 소형 연립주택과 임대아파트 입주를 알선하고 가구당 350만원의 임대보증금을 저리 융자형태로 지원했지만 그뿐이다. 지자체가 재난위험시설 주민에게 대피명령을 내릴 경우 관련법에 따라 최대 3000만원의 범위에서 저리융자를 할 수 있으나 이마저 실현되지 않고 있다.

시와 북구는 이에 따라 입주민들과 협의를 거쳐 기존 평화맨션을 허물고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지만 이 역시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평화맨션 부지가 넓지 않아 사업성이 떨어지는데다 건축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최소한 1가구당 1억4000만원의 자부담을 떠안아야 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용적률 상한선이 220%에 불과한 점도 걸림돌이다.

북구는 평화맨션 재건축을 앞당기기 위해 용적률 완화 등 관련 조례의 개정을 시에 건의했으나 여전히 성사되지 않고 있다.

평화맨션의 경우 용적률이 250%로 높아지면 25가구를 추가로 분양할 수 있다. 1981년 준공된 평화맨션은 지난해 7월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로 건물을 받치는 지하기둥 곳곳에서 균열이 발생해 정밀안전진단 결과 철거 후 재시공을 해야 되는 ‘E등급’ 판정을 받았다.

입주민 김모(45·여)씨는 “재건축이 유일한 해법이라면 용적률을 높이고 시공사를 선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서둘러야 될 것 아니냐”며 “떠돌이 생활을 언제까지 해야 할 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