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해킹 의혹’ 사건의 핵심인물인 허손구(60) 나나테크 대표가 해외로 출국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핵심 참고인의 해외 도피를 정부와 수사당국이 방조했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돼 논란이 예상 된다.
경향신문은 21일 경찰 등의 말을 인용해 “허 대표가 지난 주말 캐나다에 살고 있는 딸의 출산을 이유로 캐나다로 출국했다”며 “이탈리아 해킹팀 자료가 유출돼 국정원 해킹 의혹이 국내에 보도된 이후 서울 마포구 회사에도 나오지 않고 잠적한 상태”라고 단독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허 대표는 지난 18일 사망한 채 발견된 국정원 직원 임모(45)과장의 부탁을 받아 해킹팀과 직접 거래했으며 2010년 8월 6일 해킹팀에 이메일을 보내 해킹 프로그램 ‘RCS’성능 등을 문의했다.
같은 달 해킹팀과 독점공급 계약을 맺고 2012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6차례에 걸쳐 해킹팀의 RCS프로그램과 RCS유지보수 서비스를 국정원에 중개했다. 국정원은 해킹팀에 70만1400유로(약 8억8300만원)를 지출했고 허 대표는 중개 수수료로 7만8365유로(9795만원)를 챙겼다.
2010년 12월에는 해킹팀 직원들을 한국으로 불러 국정원 직원들 앞에 RCS를 시연하기도 했으며 이듬해인 11월에 국정원 직원의 이탈리아 해킹팀 본사 방문을 주선하기도 했다고 매체는 보도했다.
아울러 경향신문은 2013년 2월 28일 해킹팀에 보낸 e메일에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은 한국에서는 불법이기 때문에 다른 고객을 찾기는 어렵다”는 내용이 있다며 허 대표가 국정원의 RCS 구매가 불법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매체는 또 국정원 해킹 의혹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 허 대표가 해외로 출국하기까지 정부나 수사당국이 미온적 태도를 보여 사실상 도피를 방조한 것 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뉴스는 SNS와 각종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네티즌들은 “국정원이 방관을 넘어 도피 시킨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일각에서는 “허 대표를 국내로 송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나나테크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국내 여러 통신 사업자에게 통신설비를 공급하는 회사로 허 대표가 5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국정원 해킹 중개자 캐나다 출국… 도피 의혹 제기
입력 2015-07-21 14:03 수정 2015-07-21 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