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앓고 있다는 대표적 만성질환 당뇨와 고혈압. 조금만 관리를 소홀히 하면 뇌, 심장, 혈관 등에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조용하고 무서운 병이다.
최근에는 당뇨나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신장이 완전히 망가져 결국 신장이식 수술까지 받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와 고혈압 관리에 보다 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장기이식센터 한덕종,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지난 1990년 6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실시한 신장이식 수술사례 4000례를 5년 단위로 분석한 결과, 시행 초기(1990∼1994년)만 해도 전체의 8.4%에 불과했던 당뇨와 고혈압 환자군이 최근 5년간(2010∼2015년)에는 4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신장이식 환자 중 당뇨와 고혈압을 앓았던 환자수가 25년 사이 무려 5배 넘게 증가한 것이다.(그림1 참조)
반면 사구체신염, 자가면역신질환(IgA) 등 신장 자체에 생긴 질환으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군은 시행 초기 전체 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지난 25년간 증가세와 감소세를 반복해 그 차이가 없었으며 결국 만성질환 환자군에 이어 2위로 밀려났다.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만성질환군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뇨 환자가 가장 많았다. 신장이식 시행 초기 전체 3.2%의 비중을 보이는데 그쳤으나 최근 들어 8배 이상 치솟으며 25.9%의 기록으로 전체 원인질환 1위의 자리를 당뇨가 차지했다.(그림2 참조)
고혈압 환자의 경우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 2000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해 최근 17.1%의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한덕종 교수(일반외과)는 “무엇보다 당뇨, 고혈압에 대한 인식 및 관리 부족이 가져온 결과”라며 “당뇨 등 만성질환자들은 신장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영훈 교수(일반외과)도 “당뇨병과 고혈압은 흔하게 갖고 있는 질병 중 하나로 생각하기 쉬운 만큼 그 관리도 소홀히 하는 경향이 크지만 망막, 신경, 심장 및 뇌혈관질환 등의 합병증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위험한 병”이라며, “특히 당뇨병 환자의 대략 20∼40%가 20년 이내에 당뇨성 신장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말기 신부전증으로의 진행도 빠르기 때문에 합병증에 대한 조기 관리는 필수적이다”고 전했다.
당뇨는 혈당이 올라가는 병이다. 혈당이 지속적으로 올라가면 몸 속 곳곳의 혈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신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혈액과 노폐물을 걸러내는 신장 혈관꽈리(사구체)의 여과 기능을 떨어뜨려 장기적으로 신장 기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고혈압 역시 신장 사구체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장기적으로 신장 기능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당뇨와 고혈압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10%까지 감소된 상태가 지속되면 말기신부전증을 앓게 되고 결국 망가진 신장을 대체할 투석이나 신장이식 수술이 선택된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당뇨와 고혈압 합병증으로 신장이식 받는 환자 25년새 5배 이상 증가
입력 2015-07-21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