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가전시장에서 중국의 기술경쟁력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는 반면, 한국은 현상유지에 급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한국 가전산업의 韓·中·日 국제경쟁력 비교 및 정책제언’ 보고서를 통해 “가전제품 기술경쟁에서 중국은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은 전반적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경쟁력 저하가 두드러진다”고 밝혔다.
특히 보고서는 한중일 가전산업의 기술격차는 빠른 속도로 좁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중일 3국의 기계?전자제품의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비교한 결과 중국의 현시비교우위지수는 2009년 1.86에서 2013년 2.1로 12.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한국은 2009년 1.75에서 2013년 1.78로 1.7%의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또 일본은 2009년 1.59에서 2013년 1.56으로 소폭 하락했다.
현시비교우위지수는 특정국가의 품목별 수중비중을 세계시장에서의 품목별 수출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RCA지수가 0보다 크면 수출시장에서 경쟁력이 비교우위에 있다는 뜻이고, 0보다 작으면 비교열위라는 뜻이다.
권세훈 상명대 교수는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현시비교우위지수 비교에서 한중일 3국간에 큰 차이가 없고 중국이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며 “한중일 3국의 가전산업 기술격차가 좁아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가전제품 수출 경쟁에서 중국이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장기간 정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의 전자제품 수출 비중은 1992년 2%에서 2014년 32%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한국은 1992년 4.8%에서 2014년 6.2%로 소폭 상승했으며, 전반적으로 5%에서 6%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1992년 19.6%에서 2014년 5.9%로 3분의 1가량 줄었다.
권 교수는 “아무도 선점하지 못한 분야인 사물인터넷과 전자제품을 융합한 융복합 제품이나 첨단센서기술을 이용한 프리미엄 제품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면서 “모바일쇼핑이나 핀테크 산업발전에 발맞춰 전용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과 기존 플랫폼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세계 가전시장 지형도… ‘중’ 급성장, ‘한’ 현상유지 급급
입력 2015-07-21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