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훈 파동 중앙대, ‘고교정상화 기여대학’ 예산 대폭 삭감

입력 2015-07-20 17:53

정부가 대학별 입학 전형을 평가해 예산을 나눠주는 사업에서 중앙대의 지원금을 대폭 삭감했다.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중앙대에 특혜를 주도록 교육부에 압력을 행사하는 등 사회적 물의를 빚은 것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교육부는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에서 4년제 대학 60개교를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교 교육에 영향력이 큰 대입전형의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되고 있다. 입학 전형 간소화,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확대 등을 평가한다. 올해 사업 예산은 500억원이다.

중앙대는 올해 9억5000만원으로 지원금이 대폭 깎였다. 지난해에는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돼 30억원을 받았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앙대의) 지난해 실적 등을 평가해보니 올해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없었다”며 “사회적 물의나 논란을 일으킨 대학은 예산을 배정할 때 감점을 했고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국민대 건국대는 고교 교육을 위해 바람직한 입학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으로 뽑혔다. 서울대는 대입전형을 간소화한 점이 돋보였다. 전체 입학정원의 77%가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되며, 수시에서 논술고사, 정시에서 면접·구술고사를 없앴다. 서울대는 가장 많은 25억원을 배정 받았다. 국민대와 건국대는 각각 19억원과 17억원을 지원받는다.

경북대 광주교대 목포대 부경대 세종대 인천대 춘천교대 한림대 등 8개교는 신규 지원대상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대학에는 평가 점수, 학교 규모, 예산 수요 등을 고려해 2억∼25억원이 지원된다. 반면 지난해 지원 대상이었던 서강대와 성균관대 등은 제외됐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