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킹프로그램 구입 관련 여야 공방 가열

입력 2015-07-20 15:48
국민일보DB

국가정보원의 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 구입·운용 목적을 놓고 여야간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민간인 사찰 의혹 제기를 ‘안보괴담 장사’라고 맹비난 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의혹을 규명하겠다고 별렀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근거 없는 의혹으로 국민을 불안과 공포에 빠트려선 안 된다”며 일제히 총공세를 취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무책임한 정쟁으로 몰고 가 공개적으로 여론전을 벌일 게 아니라 국회 정보위 차원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게 국익을 위한 올바른 방향”이라고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국정원에 가서 관련 자료를 확인하면 금방 진실이 드러난다”며 “의혹 검증이후 현장조사를 하겠다는 (야당 태도는) 의혹을 ‘뻥튀기’하겠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장우 원내대변인은 야당의 정치공세를 “근거 없는 ‘헛다리’”라고 했고, 하태경 의원은 “야당이 제기한 의혹은 모두 괴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전면전 모드였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보위원회 등 4개 상임위의 청문회를 비롯해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며 “국회 차원의 현안질의를 요청하겠다. 국회 차원의 특위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특히 “이 사건은 맨투맨 대국민 사찰사건”이라며 “당연히 검찰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 대통령의 침묵과 방관이 더 길어져선 안 된다”고 했다. 문병호 의원은 라디오에 나와 “국정원이 ‘댓글 사건’에서도 그렇고, 정치사찰이나 민간인사찰에서도 언제 시인한 적 있었느냐”며 “자료에 대해서도 은폐하고 변형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정원 말을 100%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언주 대변인은 숨진 임모 과장이 자료를 삭제한 점을 언급하며 “국가기밀을 윗선의 보고와 허락도 없이 실무자가 임의로 삭제했다는 게 말이 되느냐. 윗선과의 모의가 의심되는 대목”이라며 “임 과장이 복원 불가능한 ‘디가우저’로 (자료를 삭제) 했다면 국정원이 복원한 자료의 신빙성도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