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 위원회’는 19일 “국정원이 해킹프로그램을 구입한 이탈리아 ‘해킹팀’에서 유출된 400밼 상당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38개의 한국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가 발견됐다”며 국정원의 전방위 민간 사찰 의혹을 제기했다. 아울러 ‘선(先) 의혹검증, 후(後) 현장조사’를 요구하며 국정원 스스로 언론 등에 제기된 의혹을 우선 해명해야한다고 압박했다.
국민정보지키기 위원회 진상조사소위 위원장인 신경민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138개의 한국 IP 주소로부터 특정 데이터가 해킹팀 본사로 전송된 정황이 담긴 로그파일이 발견됐다”며 “이들 IP에 모두 합쳐 2290차례 데이터 수집을 위한 해킹팀의 접촉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들 IP 주소를 역추적한 결과 KT 뿐 아니라 서울대학교 등 교육기관, 한국방송공사 등 공공기관, 다음카카오와 같은 일반 기업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도 폭로했다. 신 의원은 “‘20명을 대상으로 했다’ ‘대북용·연구용 이었다’는 국정원 해명이 거짓말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위원장을 맡은 안철수 의원은 “언론에서 제기된 많은 의혹에 대해 국민들이 믿을 수 있게끔 국정원 스스로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어 “현장조사는 이런 선(先)조치가 이뤄진 뒤에 해도 무리가 없다. 정비된 현장만을 둘러보고 의혹을 해소했다고 국민들께 말씀드릴 수는 없다”며 ‘선 의혹검증, 후 현장조사’ 기조를 밝혔다. 안 의원은 국정원에 상세한 자료 제출을 촉구하기도 했다. 해킹프로그램 테스트 시점부터 마지막 사용시점까지 모든 기록을 출력본이 아닌 원본 로그파일로 제출하라는 것이다. 또 해킹 대상이 몇 명이었는지, 다른 해킹 프로그램의 구매내역이 있는지에 대한 자료 일체다. 새정치연합은 자료를 제출받은 후에 이에 대한 세부 명세를 정보위에 공개하도록 하고, 추가 자료가 필요할 경우 차후 요청키로 했다.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과 청문회 요구도 나왔다. 신 의원은 “(현장조사에서) 해킹을 직접 실행한 실무자들을 불러 질문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여당은 손만 잡고 가서 빨리 현장조사를 하자는 것인데 우리가 견학이나 수학여행을 가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숨진 국정원 직원에 대해 “고인이 되신 국정원 직원의 명복을 빈다”면서도 “스스로 목숨을 버린 원인이 무엇인지 수사기관은 한점 의혹 없이 밝히길 바란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새정치연합, 유출 파일에서 한국 인터넷 IP 138개 존재
입력 2015-07-19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