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특위)는 조선인 노동자 징용이 강제노동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대로 알리라고 일본 정부에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특위는 일본 산업시설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과정에서 일본 정부 대표가 강제노역을 알리겠다고 약속한 것이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으로 오해받고 있다며 일본 정부에 제대로 대응하라고 요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를 성 노예라고 규정하는 것이 일본의 명예를 훼손한다며 국제사회의 이런 시각에 맞서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보내라고 주문할 예정이다.
특위는 17일 오전 자민당 본부에서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를 발표하기 전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 노역 문제 등에 관해 이런 제안을 담아 전할 계획이다.
특위는 명칭에서 엿볼 수 있듯이 역사 문제에 반성, 사죄 등 책임 있는 태도로 접근하기보다는 일본의 명예, 일본인의 자존심 등 관점에서 극히 지엽적인 사실에 천착해 일본 정부의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의 활동에는 일본 내 일부 보수·우익 세력이 지닌 역사관이 투영됐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런 접근이 국제사회에서 공감을 얻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자민당은 이날 문부과학·외교부회 등의 합동회의에서도 일본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한반도 출신자의 노동은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해외에 널리 알릴 것을 정부에 요구키로 했다.
교도통신에 의하면 이 회의 참석자들은 지난달 21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이뤄진 세계유산 등재 관련 합의를 한국 측이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양국간 신뢰관계를 해치는 것으로, 매우 유감이다. 엄중히 항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지난 5일 독일 본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때 “한반도 출신자 등이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을 강요당했다”고 일본 대표단이 발언한 데 대해서도 “오해가 생기고 있어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은 외교장관 회의 등을 통해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놓고 협상을 벌인 결과 ‘의사에 반해 끌려가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을 강요당했다(forced to work)’는 문구를 일본 대표단이 성명으로 발표하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았다.
하지만 이후 한국 정부는 일본이 최초로 조선인 강제노역을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며 맞받아침에 따라 양국 정부 사이에 심각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日 집권당 ‘일본군 위안부는 성 노예 아니다’ 주장
입력 2015-07-17 1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