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중앙당 권한을 시도당으로 대폭 이양하는 내용의 ‘4차 혁신안’을 17일 부산에서 발표했다. 영남지역의 야당 핵심거점에서 ‘지역분권’ 강화를 강조한 것이다. 논란이 됐던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은 이번 혁신안에는 빠졌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부산시의회에서 “지방화?분권화를 위해 중앙당 권한을 지방으로 대폭 이양하고 지방재정을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혁신위는 우선 중앙당이 독점해온 지방의원의 공천권을 시도당에 돌려주기로 했다. 전략공천권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공천권을 시도당에 이양한다는 것이다. 최고위원회도 시도당 공천에 개입할 수 없도록 명문화하기로 했다. 시도당에 지급되는 국가보조금 비율은 현행 10%에서 20%까지 인상된다.
혁신위의 최우선 목표는 20일 예정된 중앙위원회에서 기존 혁신안을 무난히 통과시키는 것이다. 당 정체성 확립 방안 발표를 이달 말로 미룬 것도 전략적 고려 때문으로 분석된다. 당 안팎에서는 ‘혁신위가 당 내 분위기를 너무 살피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이에 대해 혁신위 임미애 대변인은 “합의에 이르지 않아 발표가 연기된 것일 뿐 전략적 고려는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 정체성 확립의 키워드는 ‘민생’이고 이에 대해 당내 주류든 비주류 누구도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혁신안 반발 세력에게 ‘비토’ 명분을 주는 일은 없을 거라는 얘기다.
하지만 혁신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혁신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탈당을 불사하겠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주선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혁신이 지지부진하고 국민이 동의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게 되면 신당 창당을 위해서 탈당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또 “탈당 의사를 보인 의원이 20~30명가량은 충분히 된다”고 주장했다. 중앙위 직전에 열릴 의총에서 혁신안을 둘러싸고 계파 간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구체적으로 혁신이 실천되면 탈당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부산=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새정치연합 4차 혁신안 발표, 오는 20일 중앙위 혁신위 최대 고비될 듯
입력 2015-07-17 17:01 수정 2015-07-17 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