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여당 지도부의 16일 청와대 회동은 당청 관계가 장기간 이어졌던 갈등 국면을 딛고 복원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새누리당 지도부에 신뢰와 국정의 책임감을 동시에 부여했고, 김 대표도 당청은 공동운명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특히 박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가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 등 지난 5월 이후 중단됐던 당청 소통을 전방위적으로 재개하기로 한 것은 단순한 만남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당정청이 한마음 한뜻으로 다시 한번 힘차게 뛰자” “당정청이 앞으로 하나가 되자” 등 ‘한 몸’이라는 뜻을 거듭 강조했다. 원유철 당 원내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 등 원내지도부 선출을 계기로 당정청이 같은 방향으로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점을 주문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또 김 대표에게는 “우리 김무성 대표”라고도 했다. 당청 복원의 상징적인 언급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에 대해 “국민 염원과 희망을 모아 국가와 정치 발전, 경제 활성화를 위해 큰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당부한다”고 한 것은 그만큼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앞으로 당청 간 소통과 협력을 극대화하겠다는 의지와 함께 집권 여당이 박근혜정부를 강력히 뒷받침해야 한다는 구상을 표현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국민을 중심에 둔 정치”를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새 원내지도부 출범을 계기로 해서 당이 더욱 국민 중심으로 나아가고 집중해 달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 중심의 정치를 꼭 이뤄서 국민 중심의 정치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 그런 모범을 이번에 잘 보여주시기를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김 대표와 원 원내대표 역시 박근혜정부 성공을 위해선 당이 나서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원 원내대표는 회동 후 국회 브리핑에서 “앞으로 당정청이 중심을 잡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한목소리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국민신뢰를 얻을 수 있음을 다시 확인했다”고 자평했다.
이번 회동은 여당 원내지도부 선출에 따른 상견례 형식으로 마련됐지만,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정국과 유 전 원내대표 거취 논란 속에 심화됐던 당청 갈등을 치유하고 정상화하는 상징적인 자리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번 회동은 특히 5개월 전인 지난 2월 회동과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2월 유승민 전 원내대표 선출 직후 이뤄졌던 회동에선 유 전 원내대표가 청와대도 야당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해 어색한 장면이 연출됐고, 회동 이후에는 ‘증세 없는 복지’ 문제를 놓고 혼선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선 사실상 모든 현안에서 당청 간 이견이 없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각종 개혁과제 등 현안에 대해선 한층 강화된 협력과 공조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특히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독대는 이런 분위기가 그대로 반영됐다는 평가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당청복원 전환점 마련됐다…“박대통령 우리 김무성 대표”
입력 2015-07-16 17:38 수정 2015-07-16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