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분당론’에 직면한 새정치민주연합이 내우외환에 휩싸였다. 17일 발표될 4차 혁신안 때문이다. 이번 안에는 당 정체성 확립방안이 포함되는데, 발표 내용에 따라 ‘좌클릭’이냐 ‘우클릭’이냐 하는 논쟁이 폭발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만약 논쟁이 벌어질 경우 이는 고질적인 ‘친노(친노무현) 대 비노(비노무현) 계파갈등으로 비화될 개연성도 매우 높다.
일단 ‘김상곤 혁신위원회’는 이념논쟁을 벗어나 ‘민생을 향한 저(低)클릭’ 기조를 내세우겠다는 원칙을 정했다. 불필요한 당내 논란에 휘말리지 않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혁신위 관계자는 1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을 오늘 심도 깊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혁신위는 당 정체성이 지나치게 ‘보수화’돼 있다고 진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추진위원회’가 통합하는 과정에서 당의 개혁적 성향이 후퇴했다는 지적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혁신위는 정체성 확립 방안에 ‘진보’란 단어는 포함시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민감한 단어를 배제하면서도 새누리당과의 차별성을 강조하겠다는 것이다. 혁신위는 신설된 민생본부 중심으로 당 정체성을 구현해나가는 큰 방향에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혁신위의 다른 한 관계자는 “혁신안이 어느 정도 진보적 방향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그러나 기존 혁신안에 대한 당 내 반발조차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최고위원제 폐지안 상정을 총선 이후로 유보하자”며 “미리 상정해서 분란을 겪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또 “혁신안에 대한 비주류의 불신이 깊다.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안에 대해서도 굉장히 논쟁이 많다”고 비판했다.
혁신위 내부에선 오는 20일 중앙위원회에서 사무총장제 폐지를 포함한 혁신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당 정체성 확립 방안을 4차 혁신안에서 제외하자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위 직전에 개최될 의원총회에서 혁신안 통과를 놓고 주류·비주류가 ‘정면충돌’할 가능성도 높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내우외환’ 새정치연합에 4차 혁신안 당 정체성 논쟁 예고
입력 2015-07-16 17:41 수정 2015-07-16 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