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먹는 하마’로 불리는 2020년 도쿄올림픽 주경기장 건설 계획을 일본 정부가 결국 수정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일본 언론들이 15일 보도했다.
정부는 총 공사비용이 2520억엔(2조3000억원)으로 불어난 데 대한 비판여론이 거세지자 디자인 변경 또는 공사 기간 연장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쪽으로 전환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1964년 도쿄올림픽의 주 경기장이었던 국립경기장을 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개축되는 신(新) 국립경기장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설계자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한 미끈한 우주선 모양 지붕이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일본스포츠진흥센터(JSC)는 지난 7일 개최한 전문가 회의에서 국립경기장 개축비용을 당초 책정한 것보다 900억엔 많은 2520억엔으로 대폭 올려 잡았다.
전체비용이 최근 3개 하계 올림픽의 주경기장 건설비(대회 당시 환율기준)의 5∼8배에 달하는데다가, 증액분 중 가장 많은 약 765억엔이 ‘킬 아치(Keel Arch)’로 불리는 궁(弓)형 지붕 구조 건설을 위한 특수기술 및 자재비여서 들어간 비용만큼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를 놓고 논란이 거셌다.
신 국립경기장 건립 계획을 재검토키로 한 것은 집단 자위권 법안을 강행 처리하는 데 대한 민심의 반발이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주경기장 문제까지 더해지면 9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내각 지지율이 심각한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정치적 계산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당초 올림픽 직전 해인 2019년 5월 공사를 마무리해 그해 가을 열리는 럭비 월드컵 대회 경기장으로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계획이 변경되면서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고 교도통신이 전망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
日 ‘세금 먹는 하마’ 논란 올림픽주경기장 건설계획 결국 수정키로
입력 2015-07-16 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