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대처 매우 부적절” 국회 메르스특위 “환자관리 미흡,뒤늦은 대응”

입력 2015-07-14 18:41

14일 열린 국회 메르스 대책 특별위원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메르스 사태에 대한 삼성서울병원의 대처가 매우 부적절했다고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의원들은 병원 외에 서울시의 대응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등 여야는 비판의 초점을 서로 다른 곳에 뒀다.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이날 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에게 "국내 최고 병원으로 손꼽히는 곳에서 전체 메르스 환자의 50%에 달하는 90명이 나왔다. 아직도 국가가 방역에 뚫린 것이라고 판단하느냐"고 물었다.

새정치연합 남인순 의원은 "평택성모병원을 거쳐온 14번 환자가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입원했는데도 병원 측은 메르스를 의심하지 않았고 14번 환자는 결국 수많은 이들에게 메르스를 전파한 슈퍼전파자가 됐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박혜자 의원은 "일찌감치 삼성서울병원이 병원을 거쳐 간 외래방문객에 대해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병원 측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뒤늦게 전수조사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런 지적에 송 원장은 "저희 병원이 많이 부족하고 미흡해서 이런 결과가 생겼다"며 자리에서 일어나서 허리를 굽히는 등 사과를 거듭 반복했다.

여당 의원들은 서울시가 메르스 감염 의사가 다수 시민과 접촉했다고 발표해 국민 불안을 부추기고서도 정작 시내 보건소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지원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박인숙 의원은 류경기 서울시 행정부시장에게 "서울시의 행태에 굉장히 실망했다"면서 "국가적인 비상상황에서 서울시의 여러 발언으로 국민 혼란과 불안이 더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김기선 의원도 "서울에서 가장 환자가 많이 발생한 곳이 강동구인데 당시 강동 보건소장이 서울시에 수차례 구급차와 인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지원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류 행정부시장은 "당시에는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고 보건소에 대해서는 민간 차량을 구급차로 임대할 수 있게 하고 소방서 119차량도 이용할 수 있게 연결해줬다"라고 해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