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킹 의혹 부인

입력 2015-07-14 17:24
국민일보DB

국가정보원은 14일 국정원의 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 구매 의혹과 관련, “2012년 1월과 7월 이탈리아의 해킹업체로부터 20명분의 리모트컨트롤시스템(RCS) 소프트웨어를 구입했다”면서도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사용됐을 경우 어떠한 처벌도 받겠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국내 민간인 사찰이나 선거에 활용하기 위해 스마트폰 해킹 프로그램을 사들였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이같이 밝혔다고 정보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대북·해외 정보전을 위한 기술 분석 및 연구 개발용으로 소프트웨어를 구매했다”고 말했다고 이 의원은 설명했다. 이 의원은 또 불법적으로 해킹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북한 공작원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불법성은 있을 수 없고 인권국인 스위스 등도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고 국정원 측이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한 위법 사항은 없었다고 국정원은 거듭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은 또 지난해 스마트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에 대한 해킹 가능 여부를 이탈리아 업체에 요구했다는 의혹에 대해 “북한 공작원들이 카카오톡을 쓰고 있어서 이에 대한 문의를 하고 기술 개발을 하기 위해 (이탈리아 업체와) 이메일을 주고받았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그러나 여전히 의구심을 거둘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연합 신경민 의원은 “국정원 측 설명만으로는 (사실관계를) 확정지을 수 없어서 이른 시일 내 국정원 현장을 방문해 이와 관련해 확인을 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야 합의를 통해 국정원을 방문, 해킹 소프트웨어가 사용된 20명이 누구인지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새정치연합은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당내 특별조사위를 꾸려 진상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킹 프로그램 사용 내역 등 관련 문건 공개를 국정원 측에 요청할 예정이다. 또 많은 국민이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해킹 시도 여부 등을 조사하기 위한 ‘국정조사 카드’도 검토 중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