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김무성표 오픈프라이머리, 공천줄테니 대권 함께 가자는 선언”

입력 2015-07-14 16:54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14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여야 동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제안과 관련, "오픈프라이머리가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는 선언적 의미는 있지만, 현실적 여건 속에서 갖고 있는 한계도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하고 "혁신위도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진지하게 고민하고 검토해 갈 것"이라며 "기득권 유지가 용이하고 신인의 진입이 어렵다는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 조정하느냐가 남은 과제로, 종합검토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기서 한발짝 더 나아가 혁신위원인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간담회에서 "'김무성표 오픈프라이머리'는 멋진 말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주는 게 아니라 현역의원들의 재공천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내년 총선 공천을 줄테니 대권은 나와 함께 가자는 선언에 다름 아니다"라고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이어 "이 룰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TK(대구·경북), 새정치연합은 호남, 즉 여야 모두 우호 지역에서 100% 현역이 된다. 우리 현실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전세계적으로도 미국 19개주에서만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내에서도 제도에 대한 합의가 안된 것 같다. 오픈프라이머리라는 단어만 공유하고 각자 그리는 '상'은 서로 다르다"며 "현역에 대한 과도한 기득권 보장과 신인의 높은 진입장벽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는게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탈당파·신당파 움직임과 관련, "혁신위가 투명하고 공정한 공천룰을 만들어 국민에게 다가가는 것으로 인식이 된다면 탈당그룹이 국민에게 지지를 받을 수 없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특히 "분당 탈당 목소리에는 당이 제 역할을 못한다는 실망에서 나오는 목소리도 있지만, 상당수는 본인의 기득권 유지 차원에서 하는 얘기도 있다고 본다"고 지적한 뒤 "야권의 통합과 확대·재구성을 할 수 있는 정도의 혁신이 되면 신당으로 안 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조 교수는 박지원 의원의 라디오 인터뷰 발언을 인용, "신당은 상수로, 혁신위가 어떻게 하더라도 신당은 나올 수밖에 없다"며 "다만 신당 규모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호남 사람이라도 새정치연합 안찍는다. 돈 대주고 힘 대주는데 의사결정에서 소외된다고 여긴다면 찍을 이유가 없다"며 "천정배 의원이 수도권을 버리고 호남으로 간 것은 아쉽지만 호남에서 당선된 것은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고도 했다.

또한 재·보궐 선거 원인 제공시 해당 지역구에 무공천하도록 한 혁신안을 거론, "(호남에서) 10월 재보선은 무공천해야 한다"며 "천 의원측이나 무소속연대에서 당선되면 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