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여당 지도부의 오는 16일 회동은 한동안 냉각됐던 당청 관계의 복원 의미를 담고 있다. 공무원연금개혁안 처리와 이와 연계된 국회법 개정안 문제,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거취 등 지난 5월부터 이어진 일련의 악재들로 불거졌던 당청 갈등을 봉합하려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의미다.
이번 회동은 박 대통령과 김 대표의 적극적인 관계 개선 의지에 따라 성사됐다. 청와대는 지난 10일 당청 소통의 핵심채널인 정무수석을 임명했고, 새누리당도 14일 원내대표 등 주요 당직 인선을 마무리했다. 당직 인선에는 청와대 의중이 상당부분 반영됐다고 한다. 당청 관계 복원의 시그널을 서로 교환한 셈이다.
현재로선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회동 결정에 앞서 “이번 주 회동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김 대표 측도 만남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회동 일정은 김 대표와 국회를 찾아간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의 20여분 간 비공개 회동에서 결정됐다. 청와대와 여당은 공동운명체인 만큼 올해 하반기 안정적인 국정 운영,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선 당청 관계 정상화가 유일한 해법이라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박 대통령은 앞서 여당 원내대표를 겨냥해 ‘배신의 정치’라고 비판하면서 사퇴를 압박하는 등 최근 수개월 간 여당도 믿을 수 없다는 인식을 보여줬다. 그런 만큼 이번 회동을 통해 당청 관계 복원에 주력하면서도 여당이 박근혜정부의 국정기조를 제대로 뒷받침해야 한다는 뜻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13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앞으로 당청관계나 대국회 관계에 있어 지켜나가야 할 기본은 오직 국민을 보는 것”이라며 국민 중심의 당청관계를 강조했다.
박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 회동은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박 대통령은 김 대표를 지난 4월 16일 독대 이후 3개월 만이다. 이번 회동에선 또 침체된 경제 활성화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추가경정예산안 문제, 7월 임시국회에서의 각종 법률안 처리 등도 포괄적으로 보면 경제 살리기로 귀결된다. 또 여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에게 제70주년 광복절 특별사면과 관련해 ‘통 큰 사면’을 건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과 당 지도부 회동이 이뤄지면 우선 중단 상태에 놓인 당정청 회의체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국정과제의 추진 방안을 논의하는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는 지난 4월 19일 이후 공전하고 있고, 고위 당정청회의도 지난 5월 15일을 마지막으로 두 달째 열리지 못했다.
새누리당 김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와 현 수석의 면담 분위기도 화기애애했다. 김 대표는 국회를 찾아온 현 수석에게 “국화꽃 한 송이를 피우기 위해 밤마다 소쩍새가 그렇게 울었나보다라는 시기 있다”며 “현기환이라는 적임자를 고르기 위해 대통령이 무려 54일이라는 긴 시간을 보낸 듯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 수석은 협상과 타협에 실력이 있는 분”이라고 추켜세웠다. 박 대통령은 원 원내대표에게 축하 난을 보낸 데 이어 현 수석을 통해 축하 메시지도 전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박 대통령,여당 지도부회동-당청복원
입력 2015-07-14 1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