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의 16일 청와대 회동은 그동안 단절됐던 당청관계가 복원되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당청은 유승민 전 원내대표 체제에서 불협화음을 간헐적으로 표출해오다 국회법 거부권 정국을 계기로 극단적으로 갈등했다.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를 향해 불신감을 표출했고, 당청의 공식 채널은 끊어졌다. 여당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놓고 전례없이 당청이 충돌하는 모양새까지 드러냈고, 국정의 '엔진'까지도 식어가며 여권은 자중지란 상태로 빠져들었다.
혼돈의 시간과 우여곡절끝에 지난 8일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갈등은 봉합됐지만, 균열을 보인 당청간 '2인3각' 체제를 복원하는 것은 여권의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다.
여권이 응집력을 갖지 못한 상태가 이어질 경우 임기 반환점을 코앞에 둔 청와대로서는 후반기 국정운영 동력 회복이 여의치 않고, 여당으로서는 9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의 승리 체제를 구축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청은 인적 재편을 통해 당청관계 복원의 계기를 잡았다.
유 전 원내대표 사퇴 이후 쌍방을 향한 '관계 리셋' 메시지는 곳곳에서 발신하며 정상화 흐름은 급물살을 탔다.
박 대통령은 유 전 원내대표 사퇴 이틀만인 지난 10일 김 대표뿐 아니라 당내 비박계 의원들과 두루 친분이 있는 현기환 전 의원을 신임 정무수석으로 임명했다.
김 대표와 당도 2기 당직개편과 새 원내지도부 구성에서 청와대 입장을 상당 부분 반영하는 진용을 선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14일 원유철 원내대표와 김정훈 정책위의장이 새 원내지도부로 합의추대됐고, 김 대표도 사무총장 등 '2기 체제' 당직 인선을 발표하면서 당청관계 정상화 분위기는 더욱 무르익었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 등 당 지도부의 16일 회동은 물밑에서 진행돼온 당청관계 복원 노력의 정점을 찍는 이벤트로 볼 수 있다.
신임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김 대표를 첫 예방하는 자리에서 회동 일정이 조율되고, 김 대표가 발표하는 형식을 취한 점도 달라진 당청관계의 '청신호'라는 분석이다.
16일 청와대 회동은 집권 후반기 내년 총선에 이르기까지 여권의 국정운영 체제를 재정비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유승민 파문을 겪으면서 '국민을 중심에 두는' 당청관계의 원칙을 제시했고, 여당의 국정 뒷받침을 강조해온 만큼 당청간에 이러한 국정운영 기조가 공유되는 계기가 될 거라는게 여권 관계자들의 일치된 해석이다.
여권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모레 청와대 회동은 하반기 국정동력 회복을 위해 생산적 협력관계 구축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도 청와대 회동에서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한 여당의 뒷받침을 약속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전날 취임 1주년 간담회에서 "청와대와의 소통은 과거엔 잘 안됐는데 요새는 아주 잘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김 대표는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과 소통을 통해 당청간 틈새를 메우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동을 계기로 '생산적인 당청 협력관계'를 위해 다양한 채널의 새로운 소통 시스템 구축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과 당 지도부의 회동이 이뤄지면 우선 중단 상태에 놓인 당정청 회의체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국정과제의 추진 방안을 논의하는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는 지난 4월19일을 마지막으로 석 달 가까이 공전하고 있고, 당 대표와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등이 정부의 주요 정책을 조율하는 고위 당정청회의도 지난 5월15일을 마지막으로 두 달째 열리지 못했다.
이와 함께 이날 새로 출범한 당 정책위가 이명박정부 시절 매주 열었던 청와대 수석비서관들과의 정례 정책간담회를 부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해 현 정부 집권 3년차 하반기 시작과 박 대통령의 임기 전환점을 계기로 당청 간 소통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당청관계 복원 전환점 마련…朴대통령·與지도부 16일 靑회동
입력 2015-07-14 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