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재심이 野 혁신안 일거에 삼켜버렸다” 계파대립 다시 격화

입력 2015-07-13 18:44

새정치민주연합 당무위원회가 13일 사무총장 폐지안을 골자로 하는 혁신안을 통과시켰지만, 정작 정청래 의원의 징계 재심 '기습의결'이라는 돌발변수가 논란의 중심을 차지했다.

정당한 절차라는 지도부의 설명에도 비주류를 중심으로는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날 굳이 '막말'로 징계받은 의원에 대한 재심 요구를 해야 했는지를 두고 뒷말이 나왔다.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혁신안은 당무위를 통과해 한 고비를 넘겼으나 계파대립이 한층 격해지며 중앙위 통과까지 진통을 예고했다.

여기에 혁신안의 향배에 따라 신당론과 분당론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신당론 등 원심력이 점차 거세지고 있어 당분간 새정치연합은 위태로운 행보를 계속할 전망이다.

혁신안을 두고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예측됐던 이날 당무위는 시작하자마자, 이용득 최고위원이 정 의원에 대한 재심사 요구를 긴급 발의하며 크게 출렁였다.

이 최고위원의 긴급 재심요구 발의에 신계륜, 유승희 의원 등도 여기에 힘을 보탰다.

결국 문재인 대표는 안건을 상정해 거수투표를 진행했고, 19명대 18명 한 표 차이로 재심요구안은 의결됐다.

반대편에서는 즉각 반발이 터져나왔다.

박범계 의원은 "사전고지 없이 재심청구를 하면 윤리심판원은 문을 닫으라는 거냐"면서 논의 연기를 주장했다.

비주류 진영은 당규에 따르면 당무위원회 의장인 당 대표가 의안을 상정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도 문 대표가 이를 강행했다고 반발했다.

일각에서는 이 최고위원이 사전 비공개최고위에서 이 안건을 발의하겠다는 것을 미리 언급한 것을 들어 문 대표도 미리 알고 있었던 사안이 아니냐는 지적도 내놨다.

한 중진 의원은 "말이 되는 일인가. 신당·탈당파가 쾌재를 부를 것"이라며 "빌미를 준 셈"이라고 했다.

그러나 문 대표는 "누군가 재심사요구를 하면 안건이 된다. (다음으로 미루면) 그것만을 위한 당무위를 다시 열어야 한다"면서 재심 요청이 발의된 만큼 상정은 당연하다고 반박했다. 문 대표 측 관계자도 "표결을 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했다.

혁신위는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혁신위 관계자는 "혁신안을 의결하는 자리에서 이 사안까지 의결하는 데 아쉬움이 있다"면서 "더구나 윤리심판원의 첫 판결에 재심건의를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안병욱 윤리심판위원장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보통 사전에 안건 고지를 하는데, 이번에는 고지가 안됐다.미리 들어있었다면 더 무겁게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사무총장제 폐지를 골자로 하는 혁신안에 대해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회의에서 전병헌 최고위원 등 지도부를 중심으로는 원안을 통과시키자는 주장을 내놨다.

그러나 김성곤 의원은 안건 처리에 반대했으며, 황주홍 의원도 "혁신위가 이런 초당헌적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느냐"고 문제를 삼았다.

최고위원제 폐지 안건은 9월 중앙위로 연기됐으나, 일부 의원들은 최고위원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다만 막상 표결에서는 전체 35명 중 찬성 29명으로 무난히 통과됐다.

이처럼 혁신안이 처리가 한 고비를 넘겼지만, 계파대립이 첨예해져 중앙위까지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조국 위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남겨 "주 의원은 중앙위가 아닌 전당대회를 열자고 하는데, 그가 사무총장으로 있을 때 안철수 의원과의 통합도 전당대회 없이 중앙위 의결로 이뤄졌다. 이야말로 전대가 필요했던 일"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새정치연합에서 논란이 된 당원명부 분실사건, 재보선 불공정 선거 의혹 등에도 "혁신위 관할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 계파논란에 휘둘리지 않겠단 뜻을 밝혔다.

당 정치혁신실천위원장을 역임한 원혜영 의원도 평화방송 라디오에서 "혁신위원회가 방향을 잘 잡고 있다"고 힘을 실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