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 지방채 모두 상환, 민선 자치 이후 첫 채무 ‘0’시대 열다

입력 2015-07-13 17:18
대전 유성구가 5년전 78억원에 달했던 지방채를 모두 상환, 채무 ‘0’시대를 열었다.

13일 유성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해 기준 지방채 원리금 잔액 25억8000여만 원을 최근 한국지방재정공제회에 냈다.

지난달 구의회 심의를 거쳐 올해 1차 추경에 지방채 조기상환 예산을 편성했다고 구는 설명했다. 민선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1995년 이래 20년 동안 채무가 없는 상태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성구의 지방채 규모는 2010년 78억원까지 커졌다. 높은 채무와 경상경비 지출비율 과다 등의 이유로 ‘지방재정 건전화 이행 권고기관’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유성구 관계자는 “이후 매년 적잖게 상환해 갔으나, 최근 5년간 지방채 이자액이 11억원에 달해 구정에 부담을 줬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구는 신규 지방채 발행을 최대한 억제했다. 체납 세액 징수도 강화하는 등 자체 세입 확보를 통해 지난해에는 목표액 대비 28억원 넘게 지방세를 걷었다.

아울러 경상비용 9억원 상당을 줄이고 축제 예산 1억원을 삭감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는 자구 노력을 곁들였다.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매년 지방채 관련 예산으로 편성해왔던 재원을 자연스럽게 확보하게 됐다”며 “인구 40만 중핵도시로 나가는 기반을 다지고 사람을 키워 도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유성구의 예산 규모는 약 3570억원이다. 오는 14일부터는 예산편성 권한 일부를 주민에게 돌려주는 ‘주민참여예산’ 동 주민회의를 10개 동 주민센터에서 열 예정이다.

인터넷 사전투표(30%)와 현장투표(70%)를 거쳐 결정된 사업안은 구 해당 부서 시행 가능 여부 검토와 구민위원회 심의·조정을 거쳐 구의회에 제출된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