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국정원 불법 카톡 사찰 의혹 진상조사위” 구성

입력 2015-07-13 15:32

새정치민주연합은 13일 국정원이 2012년부터 '카카오톡' 검열까지 가능한 실시간 해킹 프로그램을 구입해 운용해 왔다는 의혹과 관련,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진상규명에 나서기로 했다.

새정치연합은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 불법카톡사찰의혹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진상규명에 적극 나서기로 결정했다고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밝혔다.

이탈리아 해킹업체에서 유출된 내부자료에 따르면 국정원은 '육군 5163 부대'라는 위장 이름으로 문제의 불법 해킹 프로그램을 구매해 사용해 왔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언론에 보도된 해킹업체 보고서를 거론하면서 "국정원이 국민 누구나 쓰고 있는 핸드폰과 카카오톡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고 무제한적인 도감청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구입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일반 국민의 통화와 문자를 국정원이 하나하나 엿듣고 들여다보고 있었다면 이는 정말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며 "국정원이 도대체 왜 본래 목적과는 아무 상관없는 일반국민에 대한 사찰을 벌였는지 분명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의 해당 프로그램 구입시점이 2012년 총선과 대선 직전이라는 점에 주목한 뒤 "언론보도에 의하면 작년 6월 지방선거 전에 카톡검열 기능, 폰 해킹 기능을 요청한 사실도 있었다고 한다"고 국정원의 선거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유승희 최고위원도 "대선 직전 이것을 구입했다는 건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이 다시 불거질 수밖에 없게 만드는 것이다"고 의심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소름 끼치는 사찰, 감시 사회를 막기 위해, '수퍼 빅브라더'의 등장을 막기 위해서라도 야당 만이 아니라 여야 초당적으로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미애 최고위원도 "민주주의가 거꾸로 가는 것 같다. 박근혜정부 들어서서 국민을 어항 속의 물고기로 만들려고 하지 않나 싶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이 판매자와 나눈 여러 교신내용을 보면 국내 메신저인 카카오톡도 해킹이 가능하냐 문의하고 관심을 보인 것으로 봐서 국정원이 둘러대는 해외정보전용이라는 게 상당히 거짓으로 짐작된다"고 꼬집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