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모든 당직은 비경상도권으로 올인하겠다”

입력 2015-07-13 13:00
사진=국민일보 DB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3일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가졌다. 다음은 일문일답.

--지난 1년 100점 만점으로 점수 매기고, 공과 과를 스스로 평가한다면.

“점수는 스스로 매기지 않겠다. 국민만이 평가 가능하다. 공과 과는 여러분이 판단해 주시길 바란다.”

--국회법 사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 과정에서 당대표가 청와대에 종속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는데.

“당 대표로서 당내에 이견이 충돌할 때 큰 파열음 없이 거중조정을 해서 결론을 도출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정치는 처음부터 끝까지 절충, 협상, 타협이다. 대결로 가선 안 된다. 모든 사고의 기준은 국민의 마음이다. 국민이 불안해하시는 길로 가선 안 된다. 그런 길을 고수하겠다.”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주장했는데 구체적인 계획을 밝혀달라. 야당의 반발은 어떻게 풀어나갈거냐.

“국회선진화법은 그 나름대로 (국회에서) 몸싸움, 충돌을 하는 것은 막아낸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소수세력이 반대하면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는 게 국민 앞에 여실히 증명됐다. 다수결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것은 위헌이다.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개정하겠다). 19대 국회 안에 고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음 임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여야가 합의를 봐야 한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았는데 구체적인 계획은.

“새누리당의 공천제도는 이미 당론으로 확정이 됐다. 야당이 진정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을 원한다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잃은 이 정치를 다시 신뢰받는 정치로 만들기를 원한다면 반드시 오픈프라이머리를 수용해야 한다. 다시 한번 야당에, 정말 이 나라의 국가·정치발전을 위해 수용해주시길 간곡히 부탁한다.”

--이달말 예정된 미국 방문의 일정과 목적은 무엇인가.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만나게 되는지, 만난다면 어떤 얘기를 나눌 계획인지.

“정당 외교 차원에서 오래전부터 계획이 돼 있었다. 미국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맹방이고 형제국이다. 미국과의 외교는 우리 정치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미·일 간에 아주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고 있고), 또 그 사이에서 한국이 어정쩡한 입장을 취해온 게 아닌가 걱정이 된다. 또 미국에서 (우리가) 너무 중국에 많이 가까워지는 게 아닌가 하고 생각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오는 25일에 출발이 계획돼 있고 그 다음주 월요일(27일)부터 워싱턴D.C.에서 미국 정가의 대표성이 있는 주요 인사들과의 면담 일정이 거의 확정이 됐다. 반기문 총장과도 만나는 일정이 잡혔다.”

--취임 일성으로 '수평적 당청관계'의 포부 밝혔는데 공무원연금개혁, 국회법 논란 과정에서 그런 부분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와.

“점수로 따지자면 스스로 조금 미흡하다고 생각이 된다. 그러나 노력은 열심히 했다. (제) 생각은 (대통령에게) 많이 전달을 했고, 또 그에 대한 답변도 많이 받았다. 지난 1년 여러 위기가 있었지만, 그때마다 저 자신을 숙이고, 전체의 조직을 위해서 절충과 타협을 하는 방향으로 일을 매듭지어왔다. 앞으로도 그런 노력을 계속하겠지만, 수평적 당청관계를 위한 노력, 할말을 하는 노력도 계속하겠다. 청와대와의 소통은 과거엔 잘 안됐는데 요새는 아주 잘되고 있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와 관련해서 당내 계파갈등이 표면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대표로서 어떻게 봉합해 새로운 모습으로 나아갈 계획인지.

“지나간 정치 현안에 대해선 당원들이나 의원님들께 당의 화합을 위해서 당분간 '묵언'해달라고 부탁 말씀을 드린 만큼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제가 말씀드리지 않겠다.

다만 내일 최종 확정될 당직 인사와 원내대표단·정책위 인사 부분에서 그 첫째 기준은 내년 총선이고 둘째는 당내 화합 위한 탕평 인사다. 그래서 제가 임명할 수 있는 당직 모두를 '비(非)경상도권'으로 인사를 하겠다. 새누리당은 '경상도 국회의원은 동메달이고, 수도권 국회의원은 금메달이다'라고 항상 생각해왔다. 선거에서 공천만 제대로 한다면 영남권에선 전부 당선이 돼야 한다. 그게 현재 우리의 정치현실이다.

내년 4월 총선에서 박근혜정권의 마지막 성공과 다음 대선을 위해 당선자가 반수를 훨씬 넘기는 선거결과가 나와야 한다. 비경상도권의 사고와 시각을 갖고 선거를 봐야만 승리할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모든 당직은 비경상도권으로 올인하겠다. 그리고 탕평, 반드시 하겠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