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이 일부 미국 전문가들의 분석과는 달리 공중회전(tumbling)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와 같은 미사일방어 시스템으로 요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성걸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은 12일 KIDA 웹사이트에 게재한 ‘북한 탄도미사일의 특성에 대한 재평가’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지난해와 올해 발사된 북한 미사일 가운데 공중회전을 보인 미사일은 전혀 없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시어도어 포스톨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 등 미국 전문가들이 최근 공중회전으로 불규칙한 궤적을 그리는 북한 미사일의 특성 때문에 사드로 요격하기 어렵다고 분석한 것을 반박한 것이다. 포스톨 교수의 분석은 국내 언론에도 보도됐다.
김 연구위원은 공중회전 현상을 보인 미사일의 예로 1991년 걸프전 당시 이라크가 사용한 ‘알후세인’ 미사일을 꼽고 이 미사일의 정확도가 매우 낮았다며 “북한 미사일은 전반적으로 알후세인 미사일보다 훨씬 발전돼 있으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 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 미사일이 탑재한 ‘가짜 탄두(decoy)’가 요격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김 연구위원은 “북한은 스커드와 노동미사일에 가짜 탄두를 운용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북한 노동미사일의 경우 작년 시험발사 당시 추진체와 파편 등을 포함한 잔해를 방출했지만 탄착 때 탄두와 거리가 30∼60㎞ 떨어져 있었다며 “북한 미사일이 가짜 탄두를 탑재해도 잔해와 마찬가지로 이격 비행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레이더 식별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북한 미사일 공중회전 안해…사드 등으로 요격 가능”
입력 2015-07-12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