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주한미군기지에 탄저균 샘플이 배달된 사고와 관련, 한·미 양국은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한·미 합동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외교부가 12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한·미간 공동조사 및 재발방지대책을 마련코자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 산하에 실무단을 신설했다”며 “실무단은 사실관계 확인 및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 이를 SOFA 합동위에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무단 단장은 장경수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로버트 헤들런드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이 공동으로 맡는다. 또 국방부와 외교부, 질병관리본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관계자 및 법률·미생물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실무단은 우선 탄저균 배달사고가 일어난 오산공군기지 검사실을 이달 중 방문해 공동조사 및 평가 작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관련 규정과 안전 사항, 제반 절차 등을 검토해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실무단은 오는 15일 예정된 제195차 SOFA 합동위에 이번 사고를 의제로 상정할 방침이다.
미군의 탄저균 사고와 관련해 양국 합동실무단이 구성된 건 한국이 유일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사안에 대해 양국이 한국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미칠 엄중성과 심각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앞서 주한미군은 지난 4월 26일 생물무기 탐지 및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주피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비활성화 상태인 훈련용 탄저균 샘플을 주한미군기지에 반입했다. 하지만 미국 내에 배달된 일부 탄저균이 살아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전량 폐기 처분됐고, 이에 따라 국내 반입된 탄저균 또한 지난 5월 27일 폐기됐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정부-주한미군, 탄저군 반입 관련 합동조사단 꾸리기로
입력 2015-07-12 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