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철수에 울산 해안관광지 안전관리 비상

입력 2015-07-11 09:59
올해부터 해수욕장 등 해변 안전관리 업무가 해경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되면서 울산지역 해변 관광지 안전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해경의 주요 업무가 수난 구호로 바뀌면서 지난해까지 해변 관광지의 행정봉사실 등에 상주하며 연안 안전관리를 담당하던 해경 인력들이 아예 철수했거나 감소했기 때문이다.

11일 울산지역 지자체 등에 따르면 울산의 주요 해변 관광지인 북구 강동산하, 동구 주전에 올여름 상주하는 해경 인력이 없거나 절반으로 줄었다. 강동산하 해변의 경우 지난해까지 행정봉사실에 상주했던 해경 인력이 6∼7명이었지만 올해는 상주 인원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전 해변에는 지난해 4명의 해경 인력이 상주했으나 올해는 2명으로 줄었다.

해경은 해변 관광지에서 근무하는 인력이 없더라도 사고 발생 시 인근에 있는 해양경비안전센터나 출장소 등에서 구조대가 신속하게 출동해 대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해상 사고는 1∼2분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초동 대처를 위해서는 연안 안전관리 인력이 필요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는 연안 안전 관리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이를 대체할 인력 확보에 분주한 모습이다.

북구는 강동산하 해변 행정봉사실에 2명의 공무원을 매일 상주시키면서 안전관리와 민원 업무를 담당하며, 주말에는 보건소 직원 1명이 추가돼 혹시 있을지 모를 응급상황에 대비한다. 또 국가근로장학사업을 통해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거나 응급처치 자격증을 소유한 대학생 3명을 뽑아 행정봉사실에 배치했다. 주말에는 해병전우회 10여 명이 해변 순찰을 하며 안전 관리를 지원한다.

동구도 2명의 공무원이 해변봉사실에 상주하는 한편, 줄어든 해경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2명의 안전요원을 신규 채용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