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색 엷은 수도권 의원 원내대표 추대” 원유철 유력...與,14일 선출

입력 2015-07-09 18:52

새누리당은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공석이 된 차기 원내대표를 오는 14일 오전 9시 의원총회를 열어 선출하기로 했다.

당 원내대표 경선관리위원회는 9일 서상기 위원장 주재로 첫 회의를 열어 이같은 일정을 확정했다. 후보 등록은 오는 12일(오전 9시∼오후 5시)이다.

현재 당내에선 차기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 방식으로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무성 대표 등 최고위원들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의 추대 방식으로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데 뜻을 모았다.

표 대결로 갈 경우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세력이 또다시 충돌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이번 '유승민 사태'로 불거진 계파 간 내홍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합의 추대를 하자는 것에 (최고위원들이) 뜻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당헌·당규에 따라 일주일 안에 차기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하는 만큼 새누리당은 이날 차기 원내대표 선출 준비에 공식 착수했다.

유 전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였던 원유철 전 정책위의장도 함께 물러나 정책위의장도 새로 뽑아야 한다.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는 내년 20대 총선 승리를 위해 전국 선거의 판세를 가를 수도권을 지역구로 두면서, 계파색이 없는 인물을 합의 추대하자는 세 가지 원칙에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세 가지 원칙에 부합하는 후보유형에 가장 가까운 원유철(경기도 평택갑) 전 정책위의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원 전 의장은 지난번 경선때도 원내대표 출마를 고려한 적이 있고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계파색이 두드러지지 않는데다 정책 역량도 있다는 강점이 있다. 원내지도부 교체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도 이점이다.

하지만 유 전 원내대표와 '한팀'으로 원내지도부를 이끌며 당청관계에 책임이 있다는 여론도 있다는 점이 변수이다.

원 전 의장은 이날 오후 의원회관으로 유 전 원내대표를 만나 차기 원내지도부 구성 문제 등을 포함해 사퇴후 거취 문제에 대해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 지도부내에서도 세 가지 원칙에 대한 공감대는 있지만 특정인물을 염두에 둔 콘셉트는 아닌 만큼 그 원칙에 구애됨이 없이 인물을 물색해 추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 경우 친박계와 비박계 인사를 두루 아우를 수 있고 계파 색이 강하지 않은 후보로 3선의 주호영(대구 수성을)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주 의원은 친이(친이명박)계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정무특보를 지낸 여권 내홍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들이 강점이다.

수도권 후보로 4선의 정병국(경기 여주 양평 가평) 심재철(안양 동안을) 의원과 3선의 홍문종(의정부을) 의원 등도 거론된다.

3선의 정우택(충북 청주 상당) 의원은 충청 의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또 친박계 인사로 지난번 원내대표 경선에 나섰던 4선의 이주영(경남 창원을)과 비박계인 3선의 장윤석(경북 영주) 의원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하지만 총선을 불과 9개월 앞두고 공석이 된 원내대표직에 도전장을 내려는 의원들이 적지 않은 분위기여서, 합의추대가 무산되고 경선을 통해 차기 원내대표가 선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 사람만 등록할 경우 합의 추대로 선출하게 되지만, 후보자가 복수이고 포기할 뜻이 없으면 이들의 출마를 제한할 방법이 없고 선관위는 경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서 위원장은 "최고위원들이 합의 추대로 가기 위해 선거일(14일) 당일까지 후보자들을 설득하는 일은 가능하다"고 밝혀, 후보자가 복수일 경우 경선과 합의 추대 중 어떤 방식으로 선출이 진행될지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이날 '원내대표 도전자가 복수일 경우 합의 추대를 위한 설득에 나설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번에는 경선을 하지 말고 합의 추대로 가는 것이 당에 좋다는 이야기가 많다"면서 "선관위가 출범했고 오늘 공고가 됐으므로 다음 단계를 봐가며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다만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보다는 합의 추대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은 모았으나, 대상자를 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