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9일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북한 문제에 관한 중요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해 “대통령 방미는 올해 하반기 가장 중요한 외교일정이 될 것”이라면서 “한·미 동맹 발전에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를 만들고자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중순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메르스 사태로 일정을 연기한 적이 있다. 윤 장관은 방미 재추진에 대해 “가까운 장래에 시기가 잡힐 것으로 본다”면서 “서로 편리한 일정을 맞춰 합의 시점에 발표하는 일만 남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은 이례적인 상황이어서 미국 측도 성의 있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윤 장관은 이 자리에서 한·미 양국이 대등한 관계임을 강조했다. 그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양국 정상이나 외교장관, 실무진 차원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모두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와는 밤 12시가 넘어도 통화를 하고, 또 필요하면 24시간 중 언제든 만난다. 다만 (리퍼트 대사가) 자녀를 보느라 바쁘긴 하다”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한편 윤 장관은 최근 한·일간 최대 쟁점인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의 조선인 강제노동 인정 논란과 관련, “정본은 영문본이며 영문본에 충실하면 오해가 없다”면서 “‘against their will(그들의 의사에 반해)’과 ‘forced to work(강제로 일을 했다)’는 말을 합치면 어떤 의미일지는 모두가 다 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보센터 설립 등 일본이 약속한 후속 조치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와의 약속이므로 성실하게 준수할 책임이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 한·일 정상회담의 선제조건이냐’는 한 패널의 질문에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열려 있다”면서도 “성공적인 회담이 되려면 여러 현안에서 진전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지속가능한 정상회담과 신뢰가 구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장급에서 진행 중인 위안부 협상에 일정한 전환점이 마련돼야만 양국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음달 15일 태평양전쟁 종전 70주년을 기념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발표할 이른바 ‘아베 담화’에 대해서는 “과거 정부의 역사인식을 계승해 양국 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길 기대한다”면서 “어떤 내용이 담겨야 주변국 기대에 부응할지 일본이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윤병세 외교부 장관, 관훈토론회 참석… 유네스코 강제노동과 위안부 문제 등
입력 2015-07-09 16:52